지난 7월 일본은 젊은 층의 ‘활자 이탈’ 현상을 막기 위해 ‘활자문화진흥법’이란 걸 만들었다. 이 법은 정부 차원의 출판ㆍ인쇄 진흥 정책을 마련하며, 학교 도서관 지원예산을 대폭 확충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놀랍다. 일본은 이미 세계 제1의 활자매체 대국이기 때문이다. 신문만 해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일본의 신문 총 발행부수는 세계 1위를 자랑하며, 일본 국민의 94.5%가 신문을 구독하고 있다. 이 걸로도 모자라 젊은이들이 신문을 읽지 않아 큰일이라며 법을 만들어 대응하는 일본인들의 활자문화 사랑을 어찌 보아야 할 것인가?
●일본과 반대 '활자문화 죽이기'
반면 한국은 정반대로 치닫고 있다. 좀 과장하면 민관 합동으로 ‘활자문화 죽이기’에 나선 형국이다. 출판인들이 아무리 읍소해도 정부의 도서관 홀대는 계속되고 있으며, 국민은 ‘신문 멀리하기’를 시대를 앞서가는 유행으로 알고 있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70%대를 유지하던 한국인의 신문 구독률은 2004년 기준으로 48.3%까지 떨어졌으며, 이후 계속 높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신문을 구독하지 않고 인터넷으로만 몰려가는 것이 국가발전에 도움이 된다면 ‘신문 멀리하기’는 애국충정으로 여겨야 마땅하겠지만, 그게 전혀 그렇지 않다는 건 세계가 동의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활자문화 살리기에 발 벗고 나서고 있는 건 활자문화가 디지털문화를 튼실하게 키울 수 있는 젖줄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탄하지 않을 수 없는 건 신문업계의 실질적 리더라 할 보수 신문들의 근시안적 태도다. 이들은 정치투쟁에만 몰두하느라 신문에 대한 국민의 염증을 가중시키고 있다.
인터넷과의 관계도 자신감 없는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신문에 대한 신뢰도는 텔레비전 신뢰도의 반 토막에도 한참 미치지 못할 정도로 바닥을 헤매고 있는 데도 ‘나만 살면 그만’이라는 식으로 버티고 있으니 이 노릇을 어찌할 것인가.
신문을 많이 팔수록 적자가 나는 현 신문시장의 기형적 구조를 바꾸기 위해선 신문 구독료 인상도 필요한데, 현 상황에선 꿈도 꿀 수 없는 일이다. 이대로 가면 정말 큰일 난다. 신문사들이 줄줄이 도산하면 그게 신문산업만의 문제로 끝나는 게 아니라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는 마음을 가지면 좋겠다.
신문 구독은 습관이다. 젊은 층의 ‘신문 이탈’이 염려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산학협동으로 가자. 신문 구독을 강의에 활용하는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교수들이 크게 늘어나야 한다. 그렇게 해야 할 필요성을 검증하고 강의 방법론을 연구하기 위한 산학 대표자 모임을 만들어 공감대를 넓혀 나가는 일을 해보자.
미국 인디애나대학 저널리즘 스쿨 학장인 브래들리 햄 교수는 최근 방한 강연에서 미국 대학에서 벌어진 ‘신문 읽기 운동’을 소개했다. ‘운동’ 하면 한국이다. 왜 이런 생각을 신문사들 스스로 하지 못하는지 안타깝다. 보수 신문들에 호소한다. 제발 사나운 정치투쟁 그만 두고 차분하고 공정한 대화ㆍ토론 문화를 가꾸면서 신문 독자 늘리고 신뢰도 올려보자.
유통경쟁 그만 하고 내용경쟁 제대로 해보자. 그래서 대통령을 비롯한 유명 인사들이 “하루라도 신문을 읽지 않으면 입속에 가시가 돋는다”고 말하게끔 애써보자.
●美대학 신문읽기 운동 참고할 만
학생들에게 지방신문 구독을 의무화한 적이 있었던 내 경험에 비추어보자면 신문을 활용하는 강의의 강점은 생생한 현실감이다. 혹 학생들의 금전적 부담이 문제가 된다면 여러 학생이 신문 1부를 공동 구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음엔 신문 강제 구독에 불만을 표한 학생도 있었지만, 한 학기가 끝난 후 학생들의 반응은 아주 좋았다. 신문들도 대학에서의 검증을 염두에 두고 공정보도와 질적 수준 향상에 신경 쓰게 된다. ‘신문 살리기’는 ‘민주주의 살리기’이다.
전북대 신방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