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선의 한강 비무장지대 뱃길 통과(3일자 2면)를 계기로 서해안과 한강을 잇는 뱃길의 활용방안에 대해 기대가 커지고 있다.
민간선박의 상시운행이 가능할 경우 고비용의 육상물류 비용을 줄임으로써 경인운하에 상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뿐 아니라 관광코스나 레저공간으로 개발도 가능해 엄청난 부가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실물크기 거북선을 경남 통영시로 이동시키기 위해 한강 뱃길 이용의 물꼬를 튼 서울시는 청계천 복원에 이은 한강 복원이라는 차원에서 다양한 활용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 뱃길이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안정적인 통로가 될 것으로 본다. 경제적 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경인운하를 대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서울시 관계자는 “1992년 당시 경인운하를 건설하기 위해 1조8,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정했지만, 현재 건설한다면 5배 이상이 들어갈 것”이라며 “한강 뱃길은 천문학적인 건설비를 줄이면서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한강 뱃길을 관광코스와 레저공간으로 주목하고 있다. 특히 한강유람선이 서해까지 왕래하고 외국의 호화유람선도 직접 서울에 들어올 수 있게 되면 서울, 개성, 인천을 잇는 삼각촌을 형성해 새로운 관광코스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현재 행주대교 옆 신곡수중보가 설치돼 있어 100명 이하 소형유람선이나 높이 8㎙ 이하, 폭 10㎙ 이하의 선박만 통과할 수 있지만 갑문시설 등을 보완하면 대형선박도 왕래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중대형 선박이 아니더라도 요트만 다니게 해도 당장 한강과 서해안은 환상적인 코스가 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한강하류 선박 통과를 허용하더라도 전면 개방은 어렵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유엔군사령부측도 한강 하류 개방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고 하지만 북한과의 합의가 있어야 한다.
실제로 2000년 남북정상회담 당시에도 강화도 주민 등을 중심으로 ‘한강 배띄우기 운동’ 등이 전개됐지만 바로 이 한강 하구지역이 걸림돌이 되기도 했다.
또한 이 지역은 재두루미 등 철새도래지로 지정돼 있어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는 환경단체들의 반대도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이 구간은 간만의 차이가 심하고 모래층이 두꺼워 선박 통과를 위한 수심 확보도 관건이다.
김병일 서울시 대변인은 “한강 뱃길이 열리면 한강은 그야말로 수도권과 서해안을 잇는 젖줄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경제적 효과를 계산할 수는 없지만 청계천 복원 때보다 몇 배 이상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장기적인 과제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진환 기자 choi@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