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월께로 예상되는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 김근태 복지부 장관이 맞대결 해야 하느냐, 마느냐를 두고 설왕설래가 무성하다.
일단 두 장관 진영에는 정면 대결을 각오하는 기류가 유세하지만, 충돌을 피하는 게 좋다는 의견도 당내엔 적지 않다. 사실 두 진영에서도 출마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내년 초 두 장관의 맞대결에 부정적인 이들은 양측 진검승부가 노무현 대통령의 조기레임덕을 부를 수 있고, 의장 경선 후유증으로 당내 분란이 만성화할 수 있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노 대통령 국정철학에 동의하는 분들을 영입하자”는 친노 직계들의 주장이나 일부 중진의 ‘무계파 중진 옹립론’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다.
이는 정동영, 김근태 장관의 고민과 맞아떨어지는 측면도 있다. 내년 5월 지방선거에서 승리한다는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당권을 잡는다 한들 상처를 입을 개연성이 있다. 반대로 당권 경쟁에서 지면 비주류로 전락한다. 두 경우 모두 대선가도에 치명적이다. 양 진영에서 “(전대에서) 이겨도 문제, 져도 고민”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그러나 아직 대세는 출마쪽이다. 친정동영계인 바른정치모임 이강래 회장은 2일 “제3후보론은 몇몇 사람이 하는 소리”라며 “이대로 가다가는 지방선거 전패인 상황에서 당을 구하려고 하면 흐름상 그렇게 가기 어렵다”고 말했다.
민병두 의원도 “제3후보론이 현실적으로 가능하겠느냐”며 “지방선거 패배를 전제로 십자가를 질 사람이 어디 있겠나”고 지적했다. 부담이 크더라도 추락한 당의 입지를 세우기 위해서는 정면승부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김 장관쪽도 마찬가지다. 재야파의 한 핵심 의원은 “당을 다시 일으켜 세워 끌고 가기 위해서는 전당대회가 최대 가치를 창출하는 이벤트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 측근도 “지금 우리당이 차기주자의 역량을 보전하면서 아껴둘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뒷짐지고 한발 빠져 있는다면 그 사람은 정치적 사망선고를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사람의 ‘빅 매치’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는 셈이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