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연정론을 접은 뒤 극도로 말을 아끼고 있다. 노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정기국회 기간에는 연정 얘기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한 뒤로는 노 대통령 발언을 둘러싼 정치적 논쟁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이 침묵은 ‘화두(話頭) 정치’의 중단이 아니라 준비로 봐야 한다. 정기국회가 끝난 후 연말에 정치개혁과 관련한 묵직한 담론을 본격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깊이 학습하고 고민하고 있다는 게 청와대 인사들의 전언이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집권 후반기에 대통령 메시지의 기획과 관리를 담당하는 비서관을 별도로 두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신설됐다가 사라진 리더십 비서관을 대체해 대통령 연설문의 뼈대를 제공할 수 있는 ‘메시지 기획비서관’(가칭)을 두자는 발상이다.
대통령 메시지의 내용과 발표 타이밍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이 자리가 신설될 경우 청와대 대변인을 지낸 김종민 국정홍보비서관이 맡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청와대 내에 정무적 판단의 비중이 커지는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내년 5월의 지방선거, 개헌논의, 연말의 담론 제시 등 굵직한 정치일정이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이병완 비서실장이 주재하고 수석비서관과 핵심 비서관 등이 참여하는 ‘정무 점검 회의’가 활성화하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이런 흐름은 “노 대통령이 연말에 던질 화두가 상당한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는 전망을 낳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이 전하는 바에 따르면, 노 대통령은 효율적 국가운영 방안을 내놓기 위해 독일 영국 프랑스 등의 정치 모델을 연구하고 있다고 한다.
구상의 골자는 지역이 아니라 노선과 정책에 따라 나눠진 정당들끼리 대화하고 타협하는 정치가 돼야 정치 안정과 경제 성장, 사회적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정치권에 직접적인 충격파와 파장을 불러일으킬 개헌론은 직접 제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화두는 결과적으로 지방선거를 전후해 정계개편의 불씨가 될 수도 있다. “노 대통령이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의 대립 구도를 그대로 놔둔 채 지방선거와 대선을 치르려 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노 대통령이 지금 숙고하고 있는 테마가 현재의 정치구조나 정당체제로는 한국 사회가 정체할 수밖에 없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정치권의 호응과 국민 여론인데, 연말이나 내년 초는 선거를 앞두고 정치세력들의 고민이 깊어질 시기이기 때문에 대연정 제의 때와는 달리 실질적인 반응이 나올 것이라는 게 청와대측의 생각이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