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지만 놀라운 소식 하나. 요즘 드라마에는 신데렐라가 없다. 오히려 SBS ‘프라하의 연인’처럼 대통령의 딸이 나온다. 물론 대통령의 딸이 형사를 사랑하는 ‘프라하의 연인’은 뒤집힌 신데렐라 이야기라고 할 수도 있지만, 이 드라마는 여주인공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에도 그의 직업이 외교관이라는 이유만으로 남자 주인공의 동료들이 깜짝 놀라는 등 둘의 ‘신분 차이’를 강조한다.
MBC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도 호텔 오너인 남자의 어머니가 자식의 연애는 방해 안 해도 결혼은 반대하고, 둘은 계속 연애만 하는 것으로 마무리 된다.
요즘 시청자들은 예쁘고 착한 여자면 누구나 재벌 2세와 결혼할 수 있다고 믿지 않는다. 그걸 즐겨도 어느 정도 현실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MBC 월화드라마 ‘비밀남녀’의 딜레마는 거기서부터 시작된다. 이 드라마는 한국에도 ‘신분’이 있음을 인정하는 시청자의 현실적인 인식을 찌른다.
가난한 집 딸 영지(한지혜)는 모든 걸 갖춘 준우(김석훈)를 좋아하지만 그에게 쉽사리 다가서지 못하고, 영지의 아버지(주현)는 ‘부잣집 사윗감’에 반색하는 대신 딸이 상처 입을까봐 준우를 냉대한다.
준우 역시 영지에게 호감을 느껴도 그가 가난하다는 사실에 부모에게 소개조차 하지 못하고, 의사인 아미(송선미)의 접근에 흔들린다.
또 가난한 집 아들인 도경(권오중)은 아미의 ‘조건’에 반해 사랑을 시작하고, 반대로 아미는 도경에게 자신에게 사랑 받으려면 “다시 태어나라”고 말한다. 그들이 영지가 동화작가로 성공하면 준우가 영지를 부모에게 소개할 수 있을 거라는 ‘순진한’ 생각을 하는 모습은, 오히려 그들이 사랑만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음을 정확하게 알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비밀남녀’는 실질적으로 거기서 끝난다. 준우와 영지는 너무 현실적이어서 서로 다가서지 못하고, 아미 역시 비현실적인 악녀 따윈 되지 않는다.
또 그렇다고 비참한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자니 애초에 가난한 여자와 재벌 2세를 굳이 만나게 한 이유가 사라진다. 준우가 가난해서 대학에 들어가지 못했다는 영지의 말에 ‘멈칫’하는 그 순간부터 그들은 이미 현실에 발을 들여놓았지만, ‘비밀남녀’는 그런 준우처럼 스스로 설정한 현실의 틀을 깨지도, 비틀지도, 수용하지도 못한 채 그 사이에서 멈칫거린다.
그 때문에 영지가 동화쓰기 대신 갑자기 노점상을 하거나, 실종된 그의 어머니가 부자가 됐을지도 모른다는 작위적인 설정 등으로 힘겹게 드라마가 이어지고, 그래서 현실성과 재미 양쪽 모두 충족시키지 못한다.
차라리 옛날 신데렐라 드라마들처럼 화끈하게 사랑의 도피라도 하는 게 더 재미 있지 않았을까. 왜 ‘판타지는 없다’고 강조하면서도 굳이 ‘재벌 2세’를 등장시켰는지 의문이 생긴다.
그럴 바엔 ‘비밀남녀’보다 ‘평범남녀’의 얘기를 그리는 게 더 나았을 것을. 혹시 ‘비밀남녀’는 ‘현실’을 요즘 드라마의 ‘유행’으로 생각한 건 아닐까.
대중문화평론가 lennonej@freechal.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