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연휴 오랜만에 만난 가족들이 모여 나눈 정담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조상묘 벌초나 이장(移葬) 얘기였을 것이다. 그러면서 집안 어른들의 장사방법을 둘러싼 의견도 자연스레 나왔을 듯 싶다.
매장과 납골, 나아가 산골(散骨)과 수목장(樹木葬)까지 화제에 올려 진지한 논의를 벌인 집도 적지 않았으리라. 핵가족화로 묘를 돌보기가 어렵다는 현실적인 이유에 심각한 묘지난도 고려요인이 됐을 것이다.
국토가 공원묘지로 뒤덮일지 모른다는 위기감은 전래의 매장문화를 화장문화로 급속도로 변모하는 계기가 됐다. 지난해 말 현재 화장률은 49.7%로 두 명 중 한 명 꼴로 화장을 선택하는 셈이다.
하지만 납골도 근본적인 대책이 되기는 어렵다. 주민들의 반대로 납골당 부지확보가 어려운데다 호화 납골묘 확산 등 매장 못지않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전국의 공설 및 공원묘지와 납골당의 수용 능력이 2012년쯤에는 포화상태가 된다고 한다.
서울시가 경기 파주시 용미리 시립묘지에 내후년까지 수목장을 할 수 있는 대규모 산골공원을 조성키로 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다. 산골의 한 형태인 수목장은 화장한 유골을 나무 뿌리 주변에 묻는 자연친화적인 장례 방식이다. 벽제 승화원 화장장에서 화장된 유골 중 산골 비율이 2002년 9.4% 수준에서 지난달 현재 22.5%로 늘어나는 등 빨리 전파되고 있다.
그러나 수목장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유골을 소홀히 취급한다는 거부감을 극복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이런 국민정서를 감안해 절차나 방법 등 보다 면밀한 연구와 함께 국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