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문화가 매장에서 화장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지만, 각 지자체들은 주민 반발로 납골당 부지 확보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전문가들은 부지 확보의 용이함, 친환경성 등을 이유로 장기적으로 납골과 산골(散骨)의 병행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서울시는 19일 “2007년까지 파주 용미리 시립묘지 내에 3만평 규모의 국내 최대 규모의 산골공원을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납골당 부지 비상
2020년까지 필요한 공설 납골당은 12만3,000기 가량. 하지만 현재 확보된 부지는 4만여기.
게다가 서울 7개 구청이 경기도의 한 사설봉안당을 입대해 확보한 2만6,700기는 ‘’. 화장로 20기와 납골당 5만위 규모로 추진하던 서초구 원지동 추모공원사업은 주민 반대로 건립계획이 백지화했고, 노원구 공릉동과 구로구 등에서도 추모공원 건립을 놓고 주민, 지자체간에 갈등을 빚고 있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2003년부터 시립납골당 이용 자격을 국민기초생활수급자와 국가유공자로 제한하는 등 산골 위주로 정책방향을 바꿨다.
산골은 화장한 유골을 나무 밑 잔디 밑 등에 묻거나 강이나 산 또는 지정된 장소에 뿌리는 장례방법. 독일, 스위스, 중국 등에서는 나무뿌리 주변에 산골하는 수목장 형태의 장례방식이 정착해 있다.
국내 최대 산골공원
60%를 상회할 정도로 정착했지만 산골률은 20% 정도. 서울시는 2020년까지 산골률을 60% 이상으로 높일 계획이다. 이미 지난해부터 벽제 승화원 내 유택동산(150평)과 파주 용미리 추모의 숲(시립묘지ㆍ6,710평) 등 2곳에서 산골공원을 운영하고 있다. 개별안장, 비석 등 표식 설치는 불가능하고 합동분향대를 이용해야 한다.
서울시가 새로 건립하려는 용미리 시립묘지 내 3만평 규모의 산골공원은 2만5,000여평 규모의 산골공간과 부대시설(5,000평)로 구성된다. 부대시설로 생태공원 4곳, 자연휴양림 2곳, 산책로, 추모조형물 등이 들어설 예정. 수목장(나무 밑에 묻는 방식) 위주로 운영할 계획이다.
기존의 산골 시설에서는 합동안장만 가능하고 개별안장은 불가능하지만 새 산골공원에는 개별안장도 허용된다. 합동안장은 무료지만 개별안장의 경우 1위당 40㎝x40㎝의 공간을 점유하므로 20만원 가량의 사용료를 내야 한다.
김흥렬 서울시 장묘문화센터장은 “산골은 선진국에서 각광 받고 있다”며 “방치되면 흉물로 남는 납골시설에 비해 친환경적이므로 조성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대로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왕구기자 fab4@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