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노무현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 회담에서 연정문제는 마침표를 찍었다. 노 대통령의 대면 제의를 박 대표가 정식 거부했으니 제의 상태로 계속되던 논란이 끝난 것이다. 박 대표는 경제ㆍ민생 분야만 맡는 초당 적 내각 제안에 대해서도 “노선이 다르고 친화성이 없다”고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제 노 대통령은 박 대표의 명시적인 의견을 존중, 연정 논의를 중단하는 것이 옳다. 이 정도 형식과 과정을 거쳤으면 노 대통령도 이를 위한 충분한 명분을 얻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회담에서 노 대통령이 “국정을 한나라당이 맡아도 지장이 없을 듯 하다”고 밝힌 대목은 야당과의 대화와 타협, 협의를 통한 국정 운영이 불가능하지 않다는 기대를 낳는다. 한나라당이 비록 내각에 들어가지 않더라도 주요 정책에서 야당의 입장과 주장을 경청하고 수용해 주는 것으로 실질적인 국정 참여를 얼마든지 실현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대통령은 경제를 살리고 야당은 야당대로 할 일이 있다”는 박 대표의 말은 대통령제 아래 야당의 존재 이유와 국정 기여 방식을 잘 설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선거구제 문제도 마찬가지다. 이는 상대를 배제하거나 부정한 채 밀어붙인다고 해서 될 일이 아니다. 한나라당이 경제 우선 원칙을 들어 논의를 추후로 미룬 이상 정치권의 ‘계속 과제’ 상태로 일단 매듭짓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회담은 경제 난국과 정치 혼돈을 해소하기 위해 대통령이 어떤 일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명쾌하게 정리했다. 또한 국회나 여야 정당이 토론과 협의, 타협의 생산적 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한 책무라는 점도 부각시켰다. 의견의 합치가 없었다고 해서 회담을 결렬로 간주하거나 갈등을 확대할 필요는 없을 듯하다. 국민 앞에 소모적 쟁점이 해소된 것은 큰 소득이다. 정파 경쟁을 거두고 국민을 위해 공익을 실현하는 데 각자가 충실하는 길만 남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