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지금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 수습 늑장대응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연방 및 지방정부 모두 비상대처에 실패했다는 질책이 쏟아져 청문회가 열릴 것이라고 한다. 엄청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온 후진국형 재난관리체계는 전 세계의 비웃음거리가 됐다.
남의 일이 아니다. 감사원이 6일 발표한 재난대비 시스템 감사결과는 미국보다 전혀 나을 게 없는 실상을 보여준다. 재난발생시 신속한 대응과 피해복구를 위해 지난 8년간 520여 억원을 투입해 구축한 국가안전관리시스템은 제대로 가동되지 않았고, 기상청과 소방방재청, 각 지자체의 재난대비체계는 부실 투성이었다.
지난 3월 일본 후쿠오카 지진발생시 기상청은 한참 뒤에야 그것도 국가안전관리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팩스로 지진해일주의보를 내려보냈다. 수백 억원을 들인 첨단장비는 무용지물이었다. 게다가 일부 지자체는 아예 통보도 받지 못했다. 만약 실제로 해일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면 등골에 식은땀이 난다.
감사원 자체 점검에서도 소방방재청 요원이 재난 연습용 메시지를 입력하는 데만 15분이 걸렸고 234개 자치단체중 20분내 메시지를 수신한 곳은 14.5%에 불과했다. 이 정도면 재난 대비니 관리니 하는 말 조차 거론하기 민망할 정도다. 이런 엉터리 시스템을 믿고 어떻게 국민들이 안심하며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겠는가.
기상학자들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환경재앙의 위험성이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동ㆍ남해안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남긴 태풍 ‘나비’가 그렇듯 최근 동아시아 지역의 태풍의 강도도 점점 강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반도의 경우 연례적인 태풍 외에도 홍수와 지진, 해일, 산불, 가뭄 등 늘 대형 재난의 위기에 노출돼있다. 평소 철저한 재난 관리시스템 대비와 점검만이 최선의 대책이라는 것을 ‘카트리나’와 ‘나비’는 일깨워준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