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을 모르는 사람에게 대학을 담당하는 국장을 맡긴다는 게 애초에 말이 안 되는 얘기였어요.”
1일 교육인적자원부 이모 인적자원관리국장이 ‘친정’인 재정경제부 산하 공적자금심사관리위원회로 돌아갔다. 지난해 2월 공모를 통해 임용됐으니 1년7개월 만이다. 대학 문제가 산적한 이 시기에 이 자리가 공석이 되는 모습을 보면서 한 사무관은 당연하다는 투로 이렇게 말했다.
인적자원관리국장은 예전의 대학국장이다. 대학입시와 대학구조개혁 업무를 총괄하는 막강한 자리이다. 대학 업무로 잔뼈가 굵은 교육부 관료들도 일하기 어려운 펑펑 나가 떨어지는 자리이다.
참여정부는 이 자리를 개방형으로 바꿔 다른 부처 출신을 앉혔다. 교육부 안팎에서는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대학 담당 국장을 외부인이 맡아서는 곤란하다”는 반대론이 우세했지만 “정부 혁신을 위해 인사교류가 불가피하다”는 당위론에 숨을 죽일 수 밖에 없었다.
결과는 우려한대로 였다. 재경부 공무원 생활을 한 뒤 조달청에서 근무하다 옮겨온 이 국장에게는 임용된 이후 줄곧 “제 역할을 못한다”는 비판이 따라 다녔다.
지난해 11월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행위 사건이 터지고, 올 들어 2008학년도 대입안을 둘러싼 논란으로 온 사회가 들썩거렸는데도 그는 일을 주도적으로 처리하지 못했다고 한다. 입시 현안에 대한 언론브리핑은 항상 그가 아닌 교육부 관료의 몫이었다. 훌륭한 재경부 관료라는 평가를 받았던 이 국장이지만 입시를 모르니 자신도 답답했을 것이다.
교육부는 후임에 교육부 관료를 임명할 예정이다. 인사교류 실패를 자인한 셈이다. 이쯤해서 부처 간 인사 교류로 ‘낯선 곳’에 둥지를 틀었던 다른 관료들의 성적표도 한번 내보는 것이 어떨까.
김진각 사회부 기자 kimj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