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ㆍ31 부동산 대책이 증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증권업계에서는 부동산 투자 위축에 따른 여유자금의 증시 유입 가능성을 기대하면서도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굿모닝신한증권 김학균 연구원은 “주식 관련 비과세 상품 도입이 사실상 무산된 상황에서 주식시장이 기대할 수 있는 현실적 효과는 거의 없으며 그저 현상유지 정도가 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역사상 어떠한 자산버블도 ‘연착륙’ 형태로 해결된 적은 없었으며 이번 대책도 부동산 시장에 대한 ‘충격’ 또는 ‘효과 미미’ 의 양자 중에서 하나로 결론날 것이지만 전자는 오히려 주식시장에 단기악재가 되고 후자의 경우에도 주식시장의 반사이익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증권 이영원 전략투자팀장은 “부동산시장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부동화한 뒤 중장기적으로 새 투자처를 향한 이동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주식시장으로 급격한 자금유입 등 단기효과가 두드러질 가능성은 낮은 편”라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반면 한국투자증권의 고유선, 김세중 연구원은 “부동산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 증시는 상승기에 접어들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 주식 중심으로 자산이 배분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긍정적 전망을 내놓았다.
대책 자체의 증시충격도 크지 않으리라는 분석이다. 언론을 통해 이미 대책 내용이 조금씩 소개된데다, 대책 발표로 인해 불확실성이 제기됐다는게 분석의 근거다. 그러나 씨티그룹증권의 유동원 상무는 “이번 대책이 민간 소비증가율을 0.5% 정도 떨어뜨리고 은행권 대출 위축 및 기업 수익성 하락 등을 촉발해 경기와 증시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라고 예측해 눈길을 끌었다.
비교적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건설주의 경우 악재와 호재가 겹쳐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분양시장 위축으로 인한 침체가 예상되나 공급물량 확대 내용이 포함되면서 이를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증권 허문욱 연구원은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고려해볼 때 이번 대책이 건설경기나 건설사 수익성에 결정적 부담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아파트 건설을 위주로 하는 중소형 건설업체들의 경우 대형업체보다 부담의 강도가 높을 것으로 관측됐다.
은행주의 경우도 집값 하락으로 인한 대출부실화 및 주택담보대출 위축 가능성 때문에 주목 받아왔지만, 실제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대증권 김지환 투자전략팀장은 “투기 과열지구에 대한 대출규제 등은 악재지만 그리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라며 “은행의 경우 60%인 담보인정비율(LTV)도 비교적 잘 통제되고 있는 만큼 주택가격 하락이 대출부실로 이어질 가능성도 희박하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증권 분석에 따르면 1977~2002년까지 18차례의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1개월 동안 주가가 하락한 경우와 상승한 경우가 모두 9번씩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대책이 주가변화의 큰 변수는 아니었다는 얘기다. 한화증권 이종우 리서치센터장은 “부동산 대책은 대체로 정부의 ‘립서비스’나 단발성 재료로 인식되기 때문에 발표 당일 증시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그치곤 했다”라고 설명했다
박진석 기자 jse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