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와 학계 등은 29일 ‘친일인사’ 명단 3,090명 발표를 대체로 환영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윤순철 정책실장은 “해방 60주년이 됐지만 친일 규명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늦은 감이 있지만 공소시효까지 배제하면서 나치 부역자를 처단했던 유럽의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흥사단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도 “상징적이고 영향력 있는 인물의 친일 행위를 낱낱이 규명하는 과거 청산의 의미”라고 밝혔다.
성공회대 김동춘 교수는 “지도자로 알려져 왔던 사람들이 포함돼 혼란이 올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론 사회통합에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적극적인 친일과 소극적, 피동적 친일을 구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일부 보수 단체 등은 과거사 규명의 큰 흐름엔 찬성 입장을 보였지만 선정 과정엔 의혹을 제기했다. 바른사회를 위한 시민회의는 “당시 공직에 있었다는 이유만 들어 친일파로 분류한 것은 기계적인 접근”이라고 말했다. 부정비리추방시민연대는 “과거사 청산엔 동의하지만 경제도 어려운 시점에 굳이 과거를 들춰내는 것은 국론을 분열시키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인터넷은 선정기준과 명단 발표 의미 등을 두고 시끄러웠다. ID ‘친일청산’은 “발표된 친일 인사에 대한 철저한 검증을 거친 뒤 우리 아이들에게 명백하게 교육해야 한다.
일제에 부역한 인사들은 역사의 심판을 받아라”라고 한 반면 ID ‘vita5000’은 “만주군에서 1년간 소위 생활을 한 박정희 전 대통령은 포함시키고 몇몇 유명 인사들의 직계가족은 ‘생계형’ 친일이라고 제외했다. 기준이 모호하다”고 따져 물었다.
고찬유 기자 jutda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