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도로조명이 반사율을 무시하고 과다하게 밝게 설치돼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에너지 낭비를 야기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상업지역의 조명이 국제기준의 10배를 넘을 정도로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영등포구청 이명기 도로점용팀장은 16일 발표한 논문 ‘서울의 밤 재탄생_ 조명, 통제 효율적 관리연구’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이 팀장은 논문에서 “서울은 조도(照度ㆍ도로로 입사하는 빛의 양)를 기준으로 과다하게 밝은 인공조명이 설치돼 시각공해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조명기구 설치기준을 선진국과 같은 휘도(輝度ㆍ바닥에 반사돼 사람 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 중심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휘도 기준으로 바꿀 경우 현재보다 전력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동대문상업지역의 경우 건물 표면 휘도는 최고 250cd/㎡로 국제 기준의 10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팀장은 논문에서 잘못된 조명기구 설치사례를 조목조목 지적했다. 도로조명은 위로 올라가는 빛은 차단하고 도로면에 빛을 집중시켜야 하지만 서울의 도로조명은 큰 반사각으로 빛이 사방으로 분산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도로면은 어둡고 하늘은 뿌옇게 만들어 운전자의 안전에 악영향을 미친다.
또 건물조명은 경쟁적으로 주변보다 환한 조명을 설치하고 있어 ‘빛 공해’를 심화시키고 있다. 서울의 경우 ▦터널 내ㆍ외부 휘도 차이가 심한 경우 ▦입체교차로의 조명이 너무 높게 설치돼 교차로 하단 운전자들의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 ▦조명과 전광판이 함께 설치돼 운전자의 시각을 순간적으로 마비시키는 경우가 많아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이 팀장은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낮은 소비전력으로 높은 밝기를 유지하는 고효율 반사경 사용을 제안했다. 현재 서울 도로조명 반사경은 대부분 1970~80년대에 설치돼 반사율이 70~75%에 불과하다.
이를 유럽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사경 수준인 95%까지 높이면 현재 250~400W인 14만3,425개의 조명등 중 7만5,619개를 50~150W의 등기구로 교체할 수 있고, 연간 45억원 가량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이밖에도 상업성 조명의 설치 규제, 점등시간 제한 등의 통제 시스템을 갖춘다면 현재보다 25~38%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팀장은 “도시의 조명은 무조건 밝은 램프를 설치하기보다 소비전력은 낮으면서 휘도를 유지할 수 있는 고효율 등기구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왕구기자 fab4@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