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강점으로부터 국권의 빛을 되찾은 지 오늘로 60년. 식민지배의 유산인 남북분단과 대결체제에 변화의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는 가운데 맞게 된 올해의 광복절은 어느 때보다 감회가 깊다. 식민지 수탈과 6ㆍ25전쟁의 폐허 위에서 경제발전을 이루고 독재와 권위주의를 극복하며 민주주의를 성숙시켜온 60년이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통일된 국민국가의 건설을 완성함으로써 진정한 독립을 성취해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외세에 의해서 강요된 분단체제가 유지되는 한 진정으로 국권을 회복했다고 할 수 없다. 식민지배 유산의 극복과 청산도 불완전 할 수밖에 없다.
중국의 패권주의 추구, 일본의 재무장 등으로 국권을 상실한 100년 전 못지않게 수상한 동북아의 정세 속에서 민족의 생존과 독립을 지키기 위해 통일 국민국가의 실현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민족적 과제이다.
다행히 남과 북은 2000년 ‘6ㆍ15 남북공동선언’ 이후 교류와 협력을 통해 화해와 공존의 틀을 잡아가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유무상통의 호혜적 방식으로 남북경협을 대폭 확대하기로 합의했고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늘려나가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여기서 분명히 해 둘 것은 민족의 안위가 걸려 있는 북한 핵 문제를 확실하게 해결하고 가야 한다는 점이다. 남과 북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협력해서 이 달 말 재개되는 4차 6자회담 2단계 회의에서 실질적 성과를 도출해 냈으면 한다.
어제부터 시작된 8ㆍ15 민족대축전은 이 같은 광복 60주년의 의미에 비춰 매우 뜻 깊은 행사다. 이 축전은 분단의 갈등을 해소하고 화해와 공존, 평화통일의 의지를 다지는 축제 마당이라는 점에서 전 국민의 성원과 지지 속에 치러져야 마땅하다.
행사를 주관하는 진보단체들은 이런 취지에 맞춰 가능한 한 많은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행사를 개방하고 일반 국민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운영해야 한다. 일부 반북 단체들이 인공기 소각 등 과격한 시위를 계획하고 있어 충돌이 우려되지만 이들도 합법적이고 절제된 방법으로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김기남 노동당 비서 등 북측 대표단 30명이 어제 6ㆍ25 전사자와 무명용사들이 잠들어 있는 동작동 국립묘지를 참배한 것도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남한 사회 일각에서는 6ㆍ25에 대한 책임과 반성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북측의 돌연한 국립묘지 참배를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는 분위기도 있다는 점은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북측의 국립묘지 참배가 6ㆍ25의 상처 치유와 진정한 화해를 이루고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한 걸음이 될 것이라는 기대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남북대표단은 이번 행사 기간에 일제 강압적인 식민지배의 상징인 서대문 형무소 자리에서 대일본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한다. 독도 문제 등을 포함해 남북이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 한 목소리로 반성과 참회를 촉구하는 것은 당연하고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이런 일이 지나치게 배타적인 민족주의로 흐르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미 일 중 러 4강국의 이해가 첨예하게 교차되고 있는 한반도 주변 정세 속에서 통일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신중하면서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북측이 강조하는 ‘우리 민족끼리’가 남북의 화합과 협력을 넘어 주변국들에게 배타적이고 공격적인 민족주의로 비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광복 60주년을 맞아 남북이 서로 협력하면서도 ‘우리끼리’를 넘어 세계로 열려 있는 성숙한 민족주의로 나아갔으면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