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60주년 기념 문화사업추진위원회(위원장 황병기)는 10일, 시민들을 대상으로 최근 2개월 여간 실시한 ‘일제 문화 잔재 바로 알고 바로 잡기’ 공모 사례를 심의, ‘만경강ㆍ영산강’이 일제의 식민 지배 편의에 의해 붙여진 이름임을 지적한 전주 우석대 조법종 교수의 제안 등 모두 45건을 선정, 발표했다.
조 교수는 ‘만경강ㆍ영산강’의 본래 이름은 사수강 사호강이지만, 일제가 행정 구역을 개편하면서 지명인 만경현, 영산포구를 끌어 와 강 이름을 훼손했다고 지적, 으뜸상을 받았다.
버금상에는 ‘소공녀’ ‘춘희’ 등 외국 문학과 음악 작품명의 일본어를 차용한 경우, 본정통(우리말 성안길) 등 지명과 일제의 소화(昭和) 연호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이름에서 따 온 ‘박문사’ ‘박문여중’ ‘소화유치원’ 등 고유명사의 경우, 경북 경산시와 청도군을 잇는 경부선 터널 입구마다 새겨진 ‘천장지구(天長地久ㆍ일 천황과 황후를 기리는 의미)’등 석각 문구, 1935년 일제의 진해 해군 요항 사령부가 러일전쟁(1905년) 승전을 기념해 세운 거제도 ‘취도탑’ 등 4건이 선정됐다.
이 밖에 조선 영조 치적의 공식 기록인 ‘일성록’(국보153호) 첫 면에 조선총독부가 찍어 둔 장서인도 지적됐다. 또 애초 30년대 전시 체제하 명령ㆍ감시 체계로 시행됐던 ‘도마리구미’(隣組)’가 이어진 ‘반상회’를 ‘마을 두레 모임’이라고 바꾸자는 제안, 지폐에 남아 있는 발권 은행 ‘총재의인’ 도장이 일본 국기 도안에서 채택된 뒤 지금껏 답습하고 있다는 지적, 태극기를 액자에 넣어 걸어 두는 관례가 일장기 게시 방법을 본받은 탓이라는 사실 등도 적시됐다. 이와 함께 국기에 대한 맹세, 인감증명제 등 29건이 누리상에 뽑혔다.
위원회는 또 전국 지명의 일제 잔재 청산 문제를 힘써 연구해 온 서강지리학회 최운권씨를 우수 실천 사례로 선정, 특별상을 수여키로 했다. 황병기 위원장은 “이번 사업은 미완의 과제로 끝난 민족사적 과제인 일제 잔재 청산 과업을 계승하는 의미를 지닌다”며 “타당성 있는 제안은 정책에 적극 반영되도록 관계 당국에 권고하겠다”고 밝혔다
최윤필 기자 walde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