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현 주미 대사의 유엔 사무총장 출마 의욕이 논란을 부르고 있다. 처음 홍 대사가 그런 의사를 비쳤을 때는 주미 대사가 매달려야 할 한미 현안의 중대성을 들어 ‘시기적 부적절성’을 지적하는 비판론이 무성했다. 홍 대사의 의욕 내지 ‘희망 사항’ 자체는 특별한 논란의 대상이 되진 않았다.
일주일 사이 분위기가 많이 바뀌었다. 애초에 홍 대사 임명 과정에서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청와대와의 사전 협의, 또는 ‘청와대의 내락’을 청와대가 부인하고 나섰다. 김만수 청와대 대변인은 홍 대사에 대한 정부 지원 여부와 관련, “정부 입장이 정해지거나 논의된 바 없다”고 밝혔다.
액면 그대로 받아 들이면 홍 대사의 유엔 사무총장 출마 의욕 표명은 이른바 ‘자가 발전’에 지나지 않는다. 중대한 현안을 눈앞에 둔 주미 대사가 쉽사리 가질 수 있는 의욕이 아니어서, 직무 적격성이 본격적으로 거론될 만하다.
그러나 자초지종을 따지자면 청와대나 정부의 책임이 오히려 크다. 누가 봐도 엉뚱한 면이 없지 않았던 홍 대사의 임명을 두고 갖가지 추측이 난무했다.
국내 정치와 관련한 관측은 논외로 치더라도 다른 나라와 경합해야 하는 유엔 사무총장 문제는 조직적 접근과 정리가 필요했다. 우선 한국에 승산이 있는지, 누가 가장 득표력이 있을지를 따지고, 그 결과에 따라 사전 조정과 정리에 나서야 했다.
그런데도 정부는 아무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홍 대사가 출마 의욕을 키우고, 국민이 정부의 묵시적 동의를 추정하기에 충분했다. 이번에 홍 대사에게 직무에 충실할 것을 주문하면서도 청와대는 “출마 자체를 완전히 막아둔 것은 아니다”는 말을 덧붙여 국민을 어리둥절하게 만들었다.
출신 배경이 어떻든 홍 대사는 이미 외교관이다. 따라서 그와 관련한 모든 논란의 궁극적 책임은 정부에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