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맛이다.’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이나 사람을 두고 하는 말이다. 얼마나 밥이 맛이 없으면 그런 일이나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로 쓰겠는가! 사람이 사는 데 가장 소중하고 가치 있는 것이 ‘밥’이라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밥보다 더 좋은 먹을 거리들이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다. 잦은 외식으로 화학조미료 맛에 길들여져 있다. 불고기, 삼겹살, 해물탕, 생선회 등등. 라면, 피자, 햄버거 등의 패스트 푸드를 즐겨 먹는 신세대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배고파 본 적이 없는 사람에게 밥 냄새는 고리타분하고 싱거울지도 모른다.
초등학교 때 어머니가 싸 주신 도시락을 살며시 놓아두고 그냥 가서, 점심을 굶고 허기져 녹초가 되곤 했다. 알루미늄 도시락 뚜껑을 살짝 열어 보고 보리가 쌀보다 훨씬 많을 때면 으레 가지고 가지 않았다.
친구들 보기에 창피했다. 그때 흰 쌀밥을 먹는 것은 무엇보다 큰 즐거움이었다. 하얀 김이 피어 오르고 구수한 밥 냄새가 식욕를 자극하는 쌀밥이야말로 어릴 적 꿈이었고 희망이었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하루 세 끼 밥을 먹지 않으면 아무리 배가 불러도 허전하다.
고등학생 때였다. 꽤나 잘 사는 친구 집에 갔다. 친구네 식구들과 함께 밥을 먹는데 밥그릇이 유난히 작았다. 보통 밥그릇 3분의 1밖에 안 될 것 같았다. 한 그릇을 후닥닥 먹었다.
양이 차지 않았다. 하지만 체면 때문에 더 먹겠다고 할 수가 없었다. “잘 먹었습니다.” 아쉬움을 간직한 채 밥상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었다. 용기 없는 나 자신을 원망하며 배고픈 하루를 보냈었다.
이제 50이 훌쩍 넘은 내겐 아내와 두 아들이 있다. 네 식구가 먹는 식량의 절반 정도를 나 혼자 소비한다. 혈기왕성한 청년인 아들들이지만 먹는 밥의 양은 유아 수준을 면치 못한다.
간식을 먹는 것 같지도 않은데 밥에 대한 관심이 적은 걸 보면 밥 경시 풍조가 어쩔 수 없는 세태인 것 같다. ‘밥’맛이 ‘밥’맛다워질 때 각종 성인병에 대한 우려가 줄어들고 건강하게 살 수 있을 것 같다.
누구나 밥 냄새가 구수하고, 구미가 당기고, 군침이 돌고, 밥 한 그릇 후닥닥 먹어 치울 때 자연스러운 웰빙 시대가 올 것 같다.
이학구ㆍ전북 원평초등학교 교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