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변동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 원자재 가격 상승, 외국인 주식배당금 증가 등으로 인해 국민의 실질 구매력 증가폭이 외환위기 이후 최저 수준으로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1ㆍ4분기 국민소득 잠정 추계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실질 구매력과 체감경기 수준을 의미하는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155조1,452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0.5%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지난 1998년 4ㆍ4분기(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6.1%) 이후 최저치다.
특히 실제 소득 수준을 나타내는, 계절변동요인 제거 후의 1ㆍ4분기 실질 GNI는 지난해 4ㆍ4분기보다 0.9% 감소, 2003년 1ㆍ4분기 이후 2년만에 감소세로 반전했다. 계절변동요인은 농산물 생산량, 보너스 지급 등 연중 특정 시기에 따라 계절별로 일어날 수 있는 변수를 말한다.
1ㆍ4분기 실질 GNI 증가율은 같은 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2.7%에 훨씬 못 미쳐 소득증가율이 생산증가율을 밑도는 현상이 10분기째 지속됐다. 이는 체감경기가 지표경기를 못 따라간다는 뜻으로 교역조건 악화 등으로 인해 실질 구매력이 성장률 만큼 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1ㆍ4분기 명목 GDP와 명목 GNI 역시 각각 183조7,704억원과 184조48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0%씩 증가하는데 그쳐 모두 1999년1ㆍ4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에 대해 “1ㆍ4분기 중 원ㆍ달러 환율이 12.7% 떨어지면서 기업 영업이익이 축소되고 원유가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올랐기 때문”이라며 “외국인 주식배당금의 국외지급액이 크게 늘어난 것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국민경제의 종합물가지수를 의미하는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0.3%에 그쳤고, 총저축률과 국내총투자율도 전년동기 대비 1.1%와 1%씩 하락했다.
박진석 기자 jse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