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공무원이 되는 길은 두 가지였다. 경쟁률이 높고 오랜 준비기간이 필요한 고시를 비롯, 7급과 9급 등 공채를 거치는 것과, 민간부문에서 경력을 바탕으로 특별채용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중앙인사위원회가 올해 처음으로 ‘6급인턴채용제(지역인재추천채용제)’를 도입, 새로운 길을 열었다. 대졸자 또는 대졸 예정자 가운데 총장추천과 시험을 거쳐 일정기간 견습 후 6급 공무원으로 임용되는 방식이다.
6급인턴채용제는 서울 등 수도권 지역 출신들에 비해 공직사회에 들어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다른 지역 수험생들을 배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실제로 시ㆍ도별 합격자는 각각 5명으로 제한함으로써 지방대 출신 응시생들이 유리한 게 사실이다. 또 공무원의 꿈을 이루는 길을 다양화해 잉여인력수급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취지도 있다.
임용절차는 4년제 대학 졸업자나 졸업예정자(올해는 1972년 1월1일 이전 출생자) 가운데 학교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대상으로 시험을 치르고 합격자들은 3년간의 견습기간을 거쳐 6급 공무원으로 임용된다.
전국 217개 대학에서 각각 최대 4명까지 추천할 수 있다. 학교장에게 발탁되기 위해선 토익 775점 이상, 해당 학과 상위 5%이내 성적 등 자격을 갖춰야 한다.
이렇게 추천을 받은 응시생은 전국적으로 700명 정도에 이르게 될 것으로 추산되며 이들은 PSAT(공직적성평가)와 면접을 거쳐 ‘6급인턴공무원’으로 채용된다. 올해 선발 인원은 50명(행정직 25명 기술직 25명)이지만 앞으로 선발숫자를 늘릴 예정이다.
중앙인사위 관계자는 “고시합격자의 90%정도가 서울소재 대학 출신자들에 편중돼 있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공직진출의 기회가 적은 지역 대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 이라며 “추천과정에서 빚어질 수 있는 잡음을 방지하기 위해 전 과정을 인사위에 통보해야 하며 만일 자격이 미달되는 학생을 추천한 경우 해당 대학의 추천권이 박탈된다”고 밝혔다.
한편 각 시ㆍ도별로 합격자 수를 똑같이 제한하게 돼 상대적으로 서울지역 응시자들이 역차별을 받는 것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서울소재 S대학교 졸업예정자인 정모(24)씨는 “균형적인 인재선발이라는 정부의 취지에 동의하지만 공무원이 되기 위해 지방대학에 편입이라도 해야하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인사위는 각 대학별로 20일부터 약 1주일간 추천을 받아 7월 중에 서류전형을 한 후 8월10일 필기시험, 11월 면접시험을 거쳐 12월에 최종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합격자들은 내년 1~2월중에 견습직원 직무교육을 받고 3월부터 부서배치를 받아 3년간의 ‘인턴’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견습기간동안 결격사유가 발생하면 임용이 취소될 수 도 있다.
양홍주기자 yangh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