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이 증자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증자 자체에 대해 대주주인 자산관리공사(캠코)와 의견 대립이 있는데다 증자 방법도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자본확충이 시급하다고 보고 지난달 3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구주주가 증자에 불참할 경우 제3자에게 주식을 배정할 수 있도록 한다’는 내용의 정관변경 안건을 상정했다. 사실상 41.26%의 지분을 보유한 캠코가 증자에 참여하기 힘든 입장이라는 게 안건 상정의 배경이다.
교보생명 지분은 신 회장 37.25%, 신 회장 일가 5명 20.99%, 대우인터내셔널 24%, 김우중 전 대우회장 11.0%, 재정경제부 6.26%(신 회장이 상속세로 물납한 것)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대우, 김 전회장, 재경부 지분을 캠코가 위탁관리하고 있다. 캠코는 위탁관리자 신분인데다 대우관련 지분을 매각해 공적자금을 회수해야 하는 입장이라 증자 참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정관변경도 캠코로선 받아들이기 어렵다. 캠코를 제외한 구주주나 제3자의 증자 참여로 자칫 교보생명 주식 가치가 하락할 경우 공적자금 회수액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결국 정관변경 안건은 캠코의 반대로 부결됐다. 캠코는 최근 “지분을 제 값에 팔 수 있도록 보장해준다면 증자에 동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안건 재상정이 예정된 27일 주총에서 교보측의 손을 들어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정관변경안이 통과된다고 해도 문제는 남는다. 우선 구주주로 증자에 참여할 수 있는 신 회장 일가 중 일부가 오히려 지분 매각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식 외에는 큰 재산이 없는 신 회장의 단독 증자 참여 역시 현실성이 떨어진다.
신 회장의 경영권이 흔들릴 위험도 있다. 실제 캠코와 신 회장 일가 일부의 지분만 더해도 50%를 넘어선다. 제3자가 증자에 참여해 소액지분을 확보한 뒤 캠코나 신 회장 일가의 지분을 추가 인수할 경우 단숨에 신 회장 지분을 넘어설 수도 있다. 기업공개 후 증권거래소 공모를 진행하는 방안도 있으나 ‘15년 미제’인 생명보험사 상장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될 가능성은 낮아 신 회장으로선 이래저래 고민이 깊어지는 형국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