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와의 전쟁 차원에서 쏟아진 정부의 초고강도 대책과 부동산 거래 비수기 등의 여파로 재건축 급등세가 한풀 꺾이고 강남권의 집값과 전세값이 약보합세로 돌아서는 등 부동산 시장이 진정세로 돌아섰다. 강남권에 이어 반짝 상승세를 보이던 목동, 여의도, 용산, 성동 등 강북권도 진정된 분위기다.
반면 11월 판교 신도시 일괄 분양을 앞두고 후광 효과가 기대되는 분당과 용인 신봉ㆍ동천ㆍ성복 지구만 매물 부족 속에 호가 위주의 상승세가 유지되고 있다.
향후 주택시장은 정부의 부동산정책, 경제성장률, 금리, 수요와 공급, 투자심리 등 각종 변수에 따라 등락을 보일 것이다. 세제 개편에 따른 세 부담 강화, 재건축 개발이익 환수, 거래 제한 등 정부의 초강력 규제가 지속되고 있는 올해까지는 아파트 입주 물량이 충분해 당분간 집값은 급등락보다는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도 집값 차별화는 주택 수급 구조 및 소득 양극화, 주거시장 트랜드 변화 등에 따라 지속될 전망이다.
집값 차별화는 지역ㆍ평형ㆍ유형별로 세분화돼 진행될 것이다.
먼저 수요에 비해 구조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강남권, 분당, 판교 인근 지역과 전략적 개발계획이 진행 중인 강북권 용산, 뚝섬, 여의도, 목동, 상암, 마곡 지구 등의 집값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둘째 소득의 양극화 현상 및 대형ㆍ고급화 하는 주거 성향의 변화는 결국 지역별 차별화와 함께 중대형 아파트 선호 현상을 더 심화 시킬 것이다.
재건축단지, 택지개발지구에서 소형 평형 공급을 의무적으로 확대하는 법적규제 강화도 결과적으로 중대형 평형 공급을 줄여 특정지역의 희소성과 투자가치를 높이는 부작용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국민소득이 1만5,000달러를 넘어서면 주거의 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도 천편일률적이고 규격화한 아파트 중심의 주거 유형에서 벗어나 나만의 주거 가치, 주거 만족도를 추구하는 주택 수요가 나타나는 다양성의 시대가 올 것이다.
예컨대 도심 주택은 접근성과 생활 편리성을 경쟁력으로 초고층, 고밀도화 하고 교외주택은 쾌적성을 재료로 신도시, 택지개발지구의 저층 단독주택이 인기를 끌 것이다. 따라서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단기적인 경기 흐름이나 그 때 그 때 남발하는 정책 변화에 일희일비하면서 내 집 마련 전략을 수정하기보다는 장기 거주 관점에서 지역, 평형, 주거유형(종류)을 종합적으로 선택해 추진하는 자세가 바람직하다.
RE 멤버스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