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0대 중반 젊은이 가운데 3분의 1은 대학 중퇴자다. 대학 교육이 소수만의 특권이었을 1960년대 말(5분의 1)에 비해 중퇴 비율이 높아진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중도에 학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이들은 대개 저소득 노동자계층 출신이다. 미 교육부의 지난해 조사에서 4년제 대학에 입학한 고소득층 학생들의 66%가 5년 내에 무사히 졸업한 반면, 저소득층은 41% 만이 학사모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미 대학사회에서 저소득계층 학생들의 교육 불평등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소수계 우대 정책(Affirmative Action)의 실시로 명문대 강의실에서 여성과 흑인, 유대인, 라틴계 등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들도 대개 중ㆍ상류층 출신이다.
해마다 2만 달러가 넘는 대학등록금을 내줄 부모를 두지 못한 학생들이 졸업장을 따는 길은 요원하다. 등록금을 해결하느라 학점은 엉망이고 빚더미에 올라앉기 일쑤이다.
문제는 소득 격차에서 출발한 교육 불평등이 다시 소득 불평등으로 악순환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4년제 대학 졸업자는 40대 초반의 평균 연봉은 6만5,000달러인 반면, 대학 중퇴 학력은 4만2,000달러를 받는다.
중퇴자가 증가하며 대학들도 저소득층 학생을 돕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로렌스 서머스 하버드대 총장은 “부유한 집안 아이들과 가난한 집안 아이들의 격차가 점차 커지는 것을 심각하게 인식해야 한다”며 지난해 저소득계층 학생들에 대한 전액장학금 지원 계획을 밝혔다. 뉴욕은 대학들의 졸업자 비율과 재정 지원을 연계 시키기로 했다.
그러나 현실이 따라주지 않는다. 성적의 대물림 구조 때문이다. 에모리대의 경우 최근 유에스뉴스 앤드 월드리포트의 대학 평가에서 랭킹이 급상승했다. 하지만 저소득층 학생의 비율은 현격하게 떨어졌다.
이유는 단순하다. SAT(학습능력적성시험) 성적과 경제적 수준이 비례하는 상황에서 대학으로서도 다른 선택이 없다는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