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16일 김두관 전 행자부장관을 대통령 정무특보로 임명한 것은 먼저 ‘정치특보’의 부활이냐는 점에서 시선을 끈다. 또 ‘리틀 노무현’으로 불려온 김 전 장관이 노 대통령 곁으로 돌아왔다는 점에서도 신임 정무특보의 역할과 위상에 촉각이 모아진다.
노 대통령은 지난해 6월초 당청(黨靑) 분리 원칙을 분명히 밝히면서 문희상 의원이 맡았던 정치특보 제도를 폐지했다. 노 대통령은 당시 “당과 국회 운영에 대한 불간섭을 견지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폐지배경을 밝혔다.
그러나 이번에 명칭이 엇비슷한 ‘정무특보’직을 신설하자 당청 분리 방침과 어긋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낙선자인 김 전장관의 경력을 관리해주기 위한 배려 차원 아니냐는 얘기도 있다.
위인설관(爲人設官)이란 주장이다. 이에 대해 김만수 대변인은 “당청 분리 원칙에 전혀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며 “정무특보는 고정적 역할이 부여된 상근직이 아니라 여느 특보와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에 대통령의 자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청 관계가 변하지 않았는데도 정무특보를 부활시킨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청와대측은 “정무특보는 지난해 폐지된 정치특보와는 달리 당청 가교 역할보다는 주로 대통령의 정무적 판단을 자문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따라서 앞으로 김 특보의 기능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김원기 국회의장과 문희상 열린우리당 의장이 바통을 이어받아 잇따라 맡았던 정치특보와는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문 의장 등은 청와대 의견을 당에 전하는 채널 역할을 주로 했지만 원내 경험이 없는 김 신임 특보는 열린우리당의 전국정당화를 포함한 지역구도 해소를 위한 자문 및 영남 민심 전달 등의 역할을 주로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김 특보는 2003년 9월 한나라당이 주도한 해임 결의안이 통과돼 행자부장관직에서 낙마한 지 20개월 만에 노 대통령 곁으로 복귀했다. 그는 지난 4월 열린우리당 상임중앙위원 선거에서 낙마했지만 이번에 청와대 일을 맡게 됨으로써 다시 중앙 정치 무대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됐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