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제도 논란이 2라운드에 접어들었다. 기간당원제가 재보선 패배의 원인이냐, 아니냐를 놓고 논쟁이 벌어진 게 1라운드라면, 기간당원제의 미래에 대한 논전이 2라운드였다.
2 라운드는 일단 무승부로 평할 수 있을 것 같다. 당 지도부가 6~7일 비공개 워크숍에서 격론 끝에 개혁파의 기간당원제 강화론과 실용파의 기간당원제 경직성 비판론을 절충, 제도는 발전시키되 공천시스템은 보완키로 했기 때문. 장영달 유시민 위원 등 개혁파는 기간당원제의 명분을 재확인했고, 문희상 의장과 염동연 위원 등 실용파는 기간당원 경선만으로는 선거 승리가 어렵다는 현실론을 관철한 셈이다.
하지만 세부 방안에 대한 속내가 달라 향후 혁신위원회의 논의과정이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특히 기간당원 배가운동과 공천시스템 개선에 대해서는 양측의 입장이 크게 엇갈린다. 실용파는 기간당원 경선으로 뽑힌 후보가 모두 낙선한 만큼 국민참여 경선과 여론조사 결과 등도 공천에 반영되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자는 입장이다. 경선 8개월 전부터 당적을 보유토록 한 규정도 공천의 다양성을 제약하는 요소라며 보완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반면 개혁파는 기간당원의 자격 강화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비납부 기간을 2개월로 축소하고 당원교육 이수 의무에 예외를 둠으로써 세몰이식 입당 같은 구태가 발생했다는 주장이다. 또 기간당원에 의한 경선 원칙만큼은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견해차는 워크숍에서도 드러났다. 재보선 참패의 원인을 놓고 "기간당원만의 경선으로 선출된 후보가 민심을 반영하지 못함을 보여준 것"(실용파), "당 정체성을 무시한 무원칙한 전략공천 탓"(개혁파)이라는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종이당원’, ‘동원당원’ 논란에 대해서도 "기간당원을 많이 모아야 이길 수 있는 경선 규정 때문"(실용파), "실용파가 무리하게 관철시킨 기간당원 자격요건 완화 때문"(개혁파)이라는 정반대의 주장이 나왔다.
워크숍에서 중도개혁정당으로서의 노선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추진키로 한 신강령 제정작업도 노선투쟁으로 비화할 소지가 다분하다. 기간당원 교육을 위한 ‘새로운 포장’ 차원이라고는 하지만 강령이 당의 이념적 좌표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당은 워크숍에서 중앙당 축소와 시도당 및 당원협의회 강화, 의원총회 공개투표를 통한 당론 결정 등 굵직굵직한 혁신방향을 설정했지만, 상당수 주제가 기간당원제와 맞물려 있어 구체적인 성과로 귀결될 지는 미지수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