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정치·정당개혁의 근간으로 삼아온 기간당원제가 표류하고 있다. 지난달 2일 전당대회 직전 25만명에 달했던 기간당원이 한달여만에 15만 명으로 줄었다. "기간당원제는 선거용"이라는 냉소가 나오는 가운데 이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놓고 계파간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우리당은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 ‘상향식 민주주의 구현’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기간당원제를 도입했지만 실상은 그와 거리가 멀었다. 이 제도가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느냐 여부는 차치하더라도 ‘종이 당원’, ‘동원 당원’이 과거보다 더 기승을 부려 국민을 기만했다는 비난을 불렀다.
기간당원 증감이 전대와 4·30 재보선 후보경선을 전후로 급격히 이뤄진 점은 이 제도가 선거용으로 전락했음을 보여준다. 기간당원은 지난해 11월(7만5,300명)부터 급증해 재보선 후보경선 준비기이자 전대 대의원 선출권 부여시한인 2월1일엔 25만 명에 육박했다. 불과 두 달 만에 3배 넘게 늘어난 것은 누가 봐도 다른 목적이 개입된 비정상적 현상이었다.
그러던 기간당원 수는 지도부 선거와 재보선 경선이 마무리된 이후 4월 말까지 10만 명이 줄었다. 전대를 전후로 5명 중 2명이 사라진 셈이다. 특히 수도권은 절반 가까이, 충남은 3분의 2가 줄어 상당수 기간당원이 급조된 선거용이었음을 알게 했다. 애초부터 2달 이상의 당비 납부, 소정의 당원교육 이수 등 의무보다는 ‘투표권’에만 관심이 있었던 셈이다.
당 관계자는 "상당수가 당비를 내지 않는 일반당원으로 돌아섰다"며 "내년 지방선거 후보자를 뽑는 경선 참여권 부여시한인 7,8월에 또 한번 급격히 늘어날 것"이라고 쓴웃음을 지었다.
더 황당한 점은 계파별로 진단과 처방이 달라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유시민 상임중앙위원은 기간당원 자격요건 강화를 통한 충성도 높은 ‘10만 당원 육성론’을 주장한다. 현재의 자격요건에 ‘종이 당원’이 발붙일 틈새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러나 실용진영은 "좋은 후보들이 경선 탈락을 우려해 입당하지 않는다"며 "기간당원제 때문에 ‘닫힌 우리당’이 됐다"고 비판한다. ‘안정적 개혁을 위한 의원모임’은 기간당원 경선을 규정한 당헌·당규를 바꾸겠다는 입장이다. 반면 재야파는 기간당원제를 옹호함으로써 실용진영과 각을 세우되 유 의원의 ‘형식 지상주의’도 강하게 비판할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당은 6일부터 당 혁신안 마련에 착수키로 했지만 재보선 패인 분석, 민주당과의 합당론, 조직 쇄신방안 등이 모두 기간당원제와 얽혀 있어 전망이 밝아 보이지 않는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