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가 일본에 영향을 미쳤음을 추정할 수 있는 실물 증거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건무)은 용산의 새박물관 개관준비를 위해 고구려 쌍영총 벽화 조각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백색 납안료인 연백(鉛白)을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연백은 중국에서 처음 만든 인공 안료로 문헌상으로 한(漢)나라 때부터 이용한 것으로 나와 있으며, 국내에서는 그 동안 8, 9세기에 제작된 그림에서 발견됐다.
그러나 이번에 기마인물상이 그려져 있는 쌍영총 벽화(5세기)의 채색 안료 밑 바탕에 이 안료가 칠해져 있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국내의 연백 사용시기가 훨씬 올라가게 됐다.
뿐만 아니라 이 연백은 지금까지 그림의 양식 만으로 설명돼온 고구려, 백제 벽화가 일본에 미친 영향을 입증할 수 있는 구체적 증거로 여겨지고 있다. 1972년 일본 나라(奈良)현에서 채색 벽화가 확인됨으로써 ‘전후최대의 역사 발견’이라며 일본 열도를 떠들썩하게 하고 일본국보로 지정된 다카마쓰즈카(高松塚)는 동서북 벽에 청룡 백호 현무가, 천정에는 별자리가 그려져 있고 인물 복장도 고구려풍이어서 고구려 고분벽화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돼왔다.
그런데 최근 연구결과 이 고분의 벽화에도 연백이 칠해져 있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 이영훈 학예연구실장은 "쌍영총 벽화의 연백은 일본 다카마쓰보다 200년 이상 앞서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고구려 고분벽화의 제작기법이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백 확인은 고구려 벽화 제작기법 규명의 첫 단계로 여겨지고 있다. 조사결과 이 연백은 기마인물상 그림의 윤곽선 안에 집중적으로 칠해져 있고 배경에는 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즉, 발색(發色)을 좋게 하기 위해 칠한 것으로 보이는 이러한 연백 기법은 다카마쓰에서도 확인되는 것이라고 유해선 학예연구사는 말했다. 유 연구사는 "고구려 무덤벽화는 대개 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그림을 그리거나 석벽에 바로 그림을 그렸는데, 쌍영총 벽화의 경우 석회를 바른 다음 윤곽선을 그리고 윤곽선 내부에 연백을 칠한 뒤 그림을 그렸음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남경욱기자 kwnam@ 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