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으로 촉발된 ‘독도 사태’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한일 양국 정부와 재계는 ‘정(政)·경(經) 분리’ 원칙을 내세우며 파장 최소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후유증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재계는 이에 따라 이번 사태에 대한 손익계산을 따져가며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 수출입 분야
나카무라 도미야스(中村富安)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서울센터 소장은 18일 독도 사태와 관련, "한국과 일본은 과거사 문제에도 불구하고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해온 만큼 양국 기업간 교류에 미치는 영향은 제로(0)에 가깝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국내 산업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항공·여행·관광 산업은 직격탄을 맞고, 국내 부품·소재 산업 육성을 위한 협력 등 일본의 대한 투자가 위축될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 이지평 연구위원은 "소비재의 대 일본 수출 비중이 낮은 만큼 한국민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될 경우 가시적인 타격은 일본이 더 클 수 있다"며 "그러나 한류 관련 문화산업 투자 등은 위축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병원 재정경제부 차관보는 "외국인직접투자(FDI)와 핵심 부품 소재 및 장비 등은 일본에서 들어오는 게 많아 우리가 더 손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자 소재 및 부품 분야의 경우 가격과 품질 면에서 월등히 우수한 일본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게 현실이어서 즉각적인 수입선 다변화는 불가능하다. 즉 대일 수입은 줄지 않는데 수출만 쪼그라들 수 있다.
◆ 국내업계 영향
항공업계는 독도 사태가 2003년 ‘사스 파동’에 이은 매머드급 악재가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특히 일본내 한류 열풍을 타고 한일 노선 탑승률이 70% 후반대까지 올라간 상황이라 더욱 긴장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한일 노선에 주 108편(19개 노선)을 띄우고 있으며 연간 수송 인원이 200만 명을 넘고 있다. 면세점도 타격을 입게 된다.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의 경우 전체 매출(연 8,000억원)의 70%가 일본 여행객의 지갑에서 나온다.
자동차 업계는 손익이 엇갈린다. 현대차의 경우 이제 막 시동을 건 쏘나타의 일본 시장 진출에 악재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따른 반사이익과 함께 한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지연될 경우 국내시장에서의 일본차 돌풍을 방어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게 된다. 실제 지난해 국내 수입차 판매 2위인 한국도요타자동차는 올해 ‘한일 우정의 해’를 맞아 BMW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서려던 목표가 수포로 돌아갈까 노심초사하는 상황이다. 전자업계도 일본 수출 비중이 극히 낮은데다 주로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으로 수출하고 있어 큰 타격은 없을 전망이다. 그러나 전자업계는 일본과의 전략적 제휴를 많이 맺고 있어 사태의 파장을 주시하고 있다.
박일근기자 ikpark@hk.co.kr
유병률기자 bryu@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