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의 총 금융자산 중 주식보유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으로 조사됐다. 이는 가계 소득이 불안정하고 기관투자가들이 주식 투자를 꺼리는데다 금융 인프라의 효율성 및 투명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증권연구원이 10일 발표한 '가계 주식보유의 국제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가계의 총 금융자산 중 직·간접 주식투자 비중은 2001년 기준 9.3%로 OECD 비교대상 20개국 가운데 오스트리아를 제외하고 가장 낮았다. 반면 미국은 51.6%로 가장 높았다. 개인들의 뮤추얼펀드 가입이 보편화한데다 보험 및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들의 주식보유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김재칠 연구위원은 1995~2001년 평균 기준으로 OECD 20개국의 가계 주식보유 비중 결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식초과수익률 금융자산축적도 교육수준 소득안정성 등이 높고 금융 인프라가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정립돼 있을수록 가계의 주식보유 비중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자영업자 비중이 높아 가계 소득이 불안정하고 기관의 주식투자 비중이 극히 낮은데다 금융 효율성과 투명성도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총 취업자 대비 임금근로자 비중은 1995~ 2001년 평균 62.9%로 OECD 20개국 중 가장 낮았고, 자영업자 비중은 37.1%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반면 미국은 임금근로자 비중이 95.4%나 됐고, 노르웨이(92.4%) 프랑스(91.5%) 독일(90.0%) 등도 높았다. 우리나라는 기관투자가 역할, 내부거래 투명성, 주주권리 보호, 금융기관 투명성 등에서도 20개국 중 18~20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최진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