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국회의원 재산 얼마나 늘고 줄었나/‘1억 이상 증가자’우리당이 더 많아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국회의원 재산 얼마나 늘고 줄었나/‘1억 이상 증가자’우리당이 더 많아

입력
2005.03.01 00:00
0 0

국회 공직자윤리위가 28일 공개한 여야 의원 294명의 재산변동 내역에선 지난해 극심한 경기침체 와중에도 상당 수 의원이 재산을 불린 점이 가장 눈에 띈다. 재산 증가 의원이 201명(68%)으로, 1억원 이상 고액 증가자도 65명(22%)에 달했다.

정당별로 보면 열린우리당이 1억원 이상 증가자가 31명으로 전통적으로 재력가들이 모인 한나라당(29명)을 앞섰다. 민주당은 김종인 의원(1억4,600만원), 민노당은 권영길 의원(2억3,400만원)이 1억원 이상의 재산을 불렸다.

반면 상위 증가자 10걸에는 한나라당 의원이 7명이나 포함됐다. 최고 증가자는 한나라당 김양수 의원으로 70억 9,800여만원이 늘었고, 무소속 정몽준 의원이 현대 중공업 주식 배당금 등으로 44억1,600여만원 증가해 뒤를 이었다. 김 의원은 "27층짜리 주상복합 건물을 신축했지만, 경기침체로 203세대가 미분양돼 부득이 개인 명의로 등기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을 비롯해 한나라당 김무성, 임태희, 우리당 이계안 의원 등 국회 재경위 소속 여야 의원들이 상위 5걸을 휩쓸어 재테크 실력을 과시했다.

여야 지도부도 대부분 재산이 늘었다. 우리당 임채정 의장은 예금증가 등으로 6,200만원, 정세균 원내대표는 주식매각과 모친 조의금 등으로 2억3,500만원이 늘었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도 국민은행 채무 4억5,000만원이 감소해 4억1,500만원이 불었다. 박 대표측은 "미래연합 당사 전세기간이 만료돼 전세자금을 돌려 받아 대출금을 상환했다"고 밝혔다. 김원기 국회의장도 예금과 부인 주식 증가 등으로 2억8,300만원이 늘었다. 반면 한나라당 김덕룡 원내대표는 전세권 해지와 예금감소 등으로 7,300만원이 줄었고, 민주당 한화갑 대표도 5,300만원이 감소했다.

재산이 줄어든 의원은 92명(31.3%)이며, 1억원 이상 감소자도 24명(8.2%)이었다. 5억2,200만원이 감소해 1위를 차지한 우리당 우제창 의원은 부친 재산 고지거부 때문에 액수가 줄었고, 한나라당 남경필 의원은 임대 채무와 배우자 채무(3억원) 등으로 5억 800만원 감소했다.

이에 따라 17대 국회 최고 재산가는 무소속 정몽준(2,611억 9,100만원), 한나라당 정의화(184억 900만원), 김양수(150억 1,40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반면 민노당 현애자 의원은 1,800만원이 늘었지만, 총 재산이 -5억 4,500만원으로 가장 가난한 의원으로 꼽혔고, 강기갑 의원은 자동차 구입 등으로 2,200만원의 빚을 져 -2억 5,600만원의 재산으로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민노당은 소속의원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불었다.

이번 재산 공개에서 재적 의원 296명 가운E데 각료를 겸하고 있는 이해찬 총리, 정동채 문화부 장관, 김근태 복지부 장관, 최근 의원직을 승계한 서혜석 의원이 제외됐고, 지난달 비례대표를 사퇴한 박홍수 농림부 장관과 최근 의원직을 상실한 이덕모 전 의원은 포함됐다.

송용창기자 hermeet@hk.co.kr

■ 저축형 많지만…역시 부동산·주식!

17대 국회의원들의 재테크 수단은 역시 부동산과 주식이었다. 지난해 경제난 속에서도 부동산과 주식으로 ‘짭짤한 재미’를 본 의원들이 상당수였다.

재산증가 의원 201명의 재테크 수단을 개괄해 본 결과, 은행 및 보험, 예금을 통한 ‘저축형’이 116명(57.7%)으로 가장 많았지만 재샂 규모로 보면 부동산과 주식이 압도적이었다. 부동산을 주요 수단으로 삼은 의원들은 47명(23.4%)이었고, 주식은 30명(14.9%) 가량으로 부동산이 주식보다 조금 많았다.

재산증가 1위인 한나라당 김양수 의원은 부동산 갑부. 재산 증가 5위인 한나라당 임태희 의원도 부동산으로 재산을 불렸다. 임 의원은 판교 신도시 토지가 수용돼 보상금으로 11억5,000여만원을 받아 재산이 9억2,700만원 증가했다. 그는 보상금으로 다시 경기 성남 분당에 오피스텔(1억원)과 아파트(7억6,000만원)를 각각 1채씩 매입했다. 민주당 이정일 의원은 ‘클럽900’ 주식 10만주를 10억원에 팔고, 전남 진도군 진도읍 성내리 일대의 대지와 주택을 매입, 주식에서 부동산으로 자산을 전환했다.

지난해 주식시장이 좋지 않았지만 ‘주(株)테크’로 재산을 늘린 의원도 많았다. 현대캐피탈 사장 출신인 열린우리당 이계안 의원은 현대차 스톡옵션을 행사, 6억2,000만원을 벌었다. 한나라당 전여옥 대변인은 현대차(10주), SK텔레콤(20주), LG전자(40주), 포스코(10주) 등 블루칩(우량주) 중심의 소량 다종목 투자를 통해 1억6,900만원의 수익을 거둬 ‘주식의 귀재’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전 대변인의 전체 재산은 3억4,500만원 늘었다.

한나라당 김무성 의원은 부인이 상속 받아 17년간 보유하고 있던 에스원 주식 29만7,000주를 팔아, 매도차익으로 25억여원을 벌었고, 우리당 김동철 의원은 주식형 펀드 투자수익 등으로 2억2,000만원의 재산을 늘렸다.

그러나 민노당 노회찬 의원은 자신이 이사로 있는 비상장회사 주식가치의 하락으로 2,600만원 손해를 봤다.

재력가인 우리당 김혁규 의원은 5억6,700만원의 예금 증가를 신고해 눈길을 끌었고, 한나라당 박종근 의원도 2억여원의 예금 증가를 신고했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

■ 386의원들 재테크 ‘잘하네'/ 부동산보다는 예금…서갑원 3억 늘어 1위

여야 386세대 의원들은 재테크엔 문외한 일 것이라는 통념을 깨고 상당한 수완을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지난해 총선 직후 신규의원 재산 등록 때 중산층 이하의 재산을 신고했으나, 이후 8개월간 상당수가 수천만원 이상의 재산을 불렸다. 대부분이 재테크 수단으로 부동산이나 주식보다는 예금을 선호해 보수적 성향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해 주식이나 투자신탁 예금이 전혀 없었던 우리당 오영식, 우상호, 이화영, 김형주 의원 등이 증권계좌를 개설, 재테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우리당 서갑원 의원은 3억 1,800만원의 재산이 증가해 386 의원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 의원은 "이 중 지난해 신고 누락분 등을 제외한 실제 순증액은 치과의사인 아내의 수입인 1억700만원"이라고 해명했다. 대조적으로 서 의원과 같은 청와대 출신 친노 직계인 이광재, 백원우 의원은 각각 1,100여만원과 1,300여만원이 감소했다.

지난해 1억원 안팎의 재산을 신고했던 전대협 출신 의원들 중 상당수의 재산이 증가했다. 우리당 이인영 의원은 채무 감소와 예금 증가로 1억600만원이 늘었고, 오영식 의원은 5,200만원, 김태년 의원은 1,700만원이 증가했다. 지난해 2,500만원을 신고한 한나라당 고진화 의원도 예금 증가로 2,700만원이 늘었다. 반면 우리당 우상호, 임종석 의원은 각각 5,200만원과 2,700만원이 줄었다.

386 의원 중 재산이 가장 많이 감소한 의원은 우리당 우제창 의원(-5억 2,200만원)이고, 한나라당 남경필(-5억 700만원), 정문헌 (-3억9,800만원), 우리당 이상경 의원(-1억1,200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최문선기자

■ "쪼들린다더니 희한하네"/‘68%가 재산증가’는 공개이래 최고치

지난해 재산 변동내역을 신고한 국회의원 294명 중 재산이 증가한 의원은 68.4%인 201명이다. 1993년 9월 공직자 재산공개가 처음 이뤄진 후 재산 증가 의원 비율로는 거의 최고 치이다.

지난해 2월 공개에서 재산 증가 의원 비율이 54%(145명)에 그쳤던 점을 감안하면 최악의 경제 불황 속에서도 의원들의 재산 상황은 전반적으로 좋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엄격한 정치자금법을 탓하면서 돈 가뭄을 호소하던 의원들의 겉 모습과 실제 지갑 사정은 달랐던 것이다.

1993년 이후 전체 의원 중 재산 증가 의원 비율은 줄곧 50%를 넘었다. 1994년 발표된 1993년 재산 증가 의원 비율은 50.8%로 최저 수준이었고, 1995년과 1996년엔 각각 54.8%, 64%였다. 1998년엔 IMF 한파에도 전체 의원 중 62%의 재산이 늘어나 지탄을 받기도 했다. 이 때 주된 재산 증가 요인은 정권 교체 후 여당 의원들에 대한 후원금 증가와 야당 의원들의 주식과 부동산 가치 상승 등으로 분석됐다.

이어 1999년엔 59.8%의, 2000년 51.1%, 2001년 60%, 2002년 66%로 집계되는 등 서민과 의원들의 살림살이엔 늘 거리가 있었다.

최문선기자 moo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