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28일 열릴 정수장학회 재단 이사회에서 이사장직을 정식 사퇴할 예정이어서 정수장학회의 앞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995년부터 정수장학회 이사장을 맡아 온 박 대표는 여권과 한나라당 비주류측이 끊임없이 자신을 공격해 온 정수장학회 문제를 ‘이사장직 자진 사퇴’로 돌파해 나갈 심산이다. ‘3공의 잔재’로 인식된 이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박 대표 자신이 박정희 전 대통령의 그늘에서 한 걸음 비켜설 수 있다는 판단이다.
부산일보 주식 100%와 MBC 주식 30%, 723평의 경향신문 터 등 수천억원대에 달하는 막대한 재산을 가진 정수장학회는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우선 박 대표가 이사장직을 물러나더라도 95년 이전 처럼 ‘친박(親朴)이사진’을 통해 상당한 정도의 영향력은 계속 유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높다. 부산일보 노조 등은 이러한 상황을 우려, ▦현 이사진 총 사퇴 ▦개혁적 이사장 선임 ▦투명한 재단 운영 ▦사장 등 임원 인사권 환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김승일 위원장 등 부산일보 노조원들은 재단측이 신문의 논조 등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쳐왔다며 박 대표의 이사장직 사퇴를 독립언론 쟁취의 기회로 보고 서울로 올라와 국회 등에서 투쟁을 벌이고 있다.
한편으로 박 대표가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면서 부산일보 및 MBC 주식을 사회에 환원, 완전히 결별하는 경우수도 예상 할 수 있다. 이 경우 박 대표가 정수장학회라는 굴레로부터 풀려날 수는 있겠지만 재단으로부터 받아 온 것으로 알려진 상당한 규모의 재정 지원이 끊겨 정치적 동선에 제약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주식 등 수천억원대의 재산처리 문제와 관련, 사회환원이냐 혹은 원주인 회복이냐 라는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될 전망이다.
중도적으로 재단 운영에서는 완전히 손을 떼더라도 재단 재산과는 일정한 연결고리를 갖는 방안도 상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시 ‘과거사 청산 문제’와 관련, 자유롭지는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정수장학회의 전신인 부일장학회의 고(故) 김지태 삼화고무 회장측이 정수장학회 설립 자체를 ‘5·16 군사정권의 재산 강탈’이라고 주장하고 있어 과거사 규명 논란에서 직·간접적인 연루가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5·16군사혁명 직후 혁명주체 세력은 부일장학회의 재산을 몰수해 ‘5·16장학회’를 만들었고, 이후 박정희 전 대통령과 부인 육영수씨의 이름을 한 자씩 따 ‘정수(正修)장학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부산=김창배기자 kimcb@hk.co.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