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3저 호황 때 대거 채용된 인력이 45세 전후에 도달하는 올해와 베이비붐 세대들이 이 연령에 달하는 2017년 및 2026년에 유례없는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이 몰아칠 것으로 전망됐다.
그러나 이 같은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고령화 현상에 따른 신규 노동공급 감소와 재직 근로자의 노령화로 2009년 이후 국내 기업들은 급격한 생산성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3일 ‘고령화·저성장 시대의 기업 인적자원 관리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 구조조정 = 80년대 중반~90년대 중반의 호황기만 해도 대기업들은 매년 수 천명씩 채용하는 것을 당연시했다. 그러나 고도성장이 마감되고 당시 채용 인력들이 고령화하면서 이들은 기업의 대표적인 ‘고비용 인력’으로 여겨지고 있다.
연구소는 80년대 중반 3저 호황 속에 사회생활을 시작했던 인력이 45세 전후에 도달하는 올해 대규모 구조조정의 파고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엄동욱 수석연구원은 "경기 급반전이나 기업의 사업 확장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이들 대부분이 퇴직하게 될 것"이라며 "설령 구조조정에서 살아 남더라도 ‘사오정’(45세 정년)의 사회 분위기를 미뤄볼 때 남은 고용기간은 매우 짧을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연구소는 또 해방·전후 1차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70년대 초반 출생자들이 45세 전후에 달하는 2017년과 역시 베이비붐 시기인 80년대 초반 출생자들이 이 연령에 도달하는 2026년도 대규모 구조조정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 생산성 = 그렇다면 노후 인력들을 잘라낸다고 기업들이 젊어질까. 연구소는 저출산에 따른 절대인력 감소와 고령 근로자 비중의 증가로 기업이 생산성 위기의 무덤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근로자가 기업에서 재직하는 연령을 25~54세로 가정할 때, 이 연령 대는 2009년 정점을 이루고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2018년보다 9년이나 앞선 것이다.
대기업들은 그 동안 ‘대량채용-구조조정’을 반복하는 인력구조를 운용해왔는데 대량채용을 뒷받침할 노동력의 공급은 사라지고 구조조정만 반복될 것이라는 얘기다.
엄 연구원은 "재직 근로자의 고령화로 생산성이 저하되면 기업들은 생산성 대비 높은 임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 구조조정으로 대응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대책은 = 연구소는 이 같은 악순환이 ‘고령자=고비용’이라는 인식을 버리지 못하는 기업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F다. 엄 연구원은 "고령자를 무조건 쳐내는 식의 구조조정 방식이 이들의 숙련과 경험을 사장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나이가 차면 내보내는 식으로 생산성 저하를 막으려다, 걷잡을 수 없는 생산성 위기를 기업 스스로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대기업들은 45세 이상 고령 근로자 구성비율이 19.4%로 중소기업에 비해 인력 활용도가 훨씬 떨어진다.
연구소는 특히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이 거의 이뤄지지 않아 기업 스스로 구조조정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엄 연구원은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위기를 막기위해서는 고령 인력의 활용도를 높여야 하며 이들에 대한 기업의 인식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유병률기자 bryu@h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