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들은 정부기관보다는 민간단체를 더 신뢰하고 있으며, 사회적 영향력이 큰 기관이나 집단일수록 더 불신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A6면
또 혈연, 학연 등의 직접적 인연이 신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돼 우리 사회에 여전히 연고주의가 팽배해 있음을 드러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일보와 동아시아연구원(원장 김병국 고려대 교수)이 최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리서치에 의뢰, 전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면접조사한 ‘한국사회 신뢰?%B? 여론조사’에서 확인됐다.
조사결과 전체적인 신뢰도는 ‘내 가족’ ‘친척’ ‘동창생’ 등 개인적 인연이 있는 대상이 높게 나타났고, 반면 ‘국회’ ‘정부’ ‘사법부’ ‘대통령’ 등 공적 기관에 대해서는 현저하게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기관이나 단체로 대상을 한정할 때는 시민단체에 대한 신뢰가 가장 높았으며 이어 종교단체, 대학, 노동조합 등 순이었다. 그러나 영향력 조사에서는 대통령, 행정부, 언론기관, 국회, 사법부, 시민단체 등 순으로 응답해 사회적 영향력과 신뢰도는 거의 정확하게 반비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조사결과에 대해 %B연구원 측은 "국민들이 여전히 공적 룰의 정당성을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우리 사회가 연고주의를 넘어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누구에게나 예외없이 규칙이 적용되는 법치주의 확립이 가장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홍석우기자 museh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