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노사가 26일 합의한 대규모 인력 감축 방안을 두고 말들이 많다. 처음에는 직원의 20%에 육박하는 인력 구조조정 규모가 얘깃거리가 되더니, 점차 과잉 보상 쪽으로 화제의 중심이 옮겨가는 분위기다. "아무리 국내 최대 은행이라지만 24개월치 명예퇴직금도 모자라 자사주와 학자금 지원 그리고 일자리 알선까지 해준다니 너무 과도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물론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수준의 시샘이거나, 혹은 상대적 박탈감이 다분히 묻어나는 반응들도 적지 않다.
국민은행 측은 "은%C행이 대규모 적자를 내고 있는 것도 아닌데 구조조정의 희생양이 된 이들에게 최대한의 성의를 보이는 것이 당연한 것 아니냐"고 일축한다. 백번 타당한 말이다. 총 2,500억원 가량으로 추산되는 막대한 명퇴 비용에도 불구하고 국민은행 주가가 연일 상승하는 것을 보면, 영리한 시장은 "감원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배려"라는 계산을 이미 끝낸 것으로도 보인다.
하지만 동료 노동자가 아니라 은행을 먹여 살리는 국민의 입장이 되고 보면, 단순히 시샘으로만 치부해 버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2001년 옛 국민과 주택은행 합병 이후 인력 구조조정 필요성이 끊임없이 제기될 때마다 %C전임 경영진은 "인위적인 감축은 없다"며 손사래를 쳤다. 그 결과가 ‘인력 구조조정 지연 →수익성 악화 →구조조정 필요성 확대·심화 →명퇴 인센티브 확대 →막대한 구조조정 비용 발생’ 이다. 이 과정에서 국민들은 부족한 수익성을 보전해 주기 위해 필요이상의 예대 마진과 수수료를 뜯겨왔다. 늑장 구조조정의 대가는 대규모 감원을 앞둔 노조나 막대한 비용을 감수해야 하는 은행 뿐 아니라 국민도 치렀음을 명심해야 한다.
이영태 경제과학부 기자 ytlee@hk.co.kr%0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