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발표될 때마다 소비자들 반응은 한결 같습니다. "우린 시장 가기가 무서운데, 공무원들은 시장도 안 가나?" 소비자들이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와 정부가 발표하는 ‘소비자 물가지수’ 사이에 괴리가 나타나는거죠.
장바구니 물가는 말 그대로 시장에서 물건을 살 때 주관적으로 느끼는 체감 물가입니다.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반면 소비자 물가지수는 소비자가 많이 구입하는 식료품가전제품 등 상품과 학원비 집세 버스요금 등 서비스를 포함한 516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해 만듭니다. 이때 전체 소비에서 소비지출 비중이 큰 품목에는 더 많은 가중치를 줍니다.
정부 통계가 시장 가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느끼게 되는 것은, 우선 집집마다 구입하는 물건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채소 값이 많이 오르고 소고기 값이 내렸을 경우, 채식을 즐기는 집에서는 아무래도 물가가 많이 올랐다고 생각하겠죠.
고가품을 구입하거나 자녀를 학교에 보내게 되면서 추가 지출이 많아질 때도 물가가 오른 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또 정부는 전월이나, 전년 동월을 기준으로 상승률을 계산하는 반면 소비자들은 가장 값이 쌌던 때의 가격을 기준으로 물가를 비교하기 마련입니다.
정부도 지수 물가와 장바구니 물가와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쌀 두부 콩나물 소고기 등 기본 생필품 156개만 선정해 별도의 지표를 작성하는데, 이것을 생활물가지수라고 합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2003년보다 연평균 3.6% 올라 정부 목표(3%대 중반)를 벗어나지 않았고, 생활물가지수는 4.9%가 올랐습니다. 이 정도면 아직 안정된 수준이라 할 만 합니다.
유병률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