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락 대신 농수산물 상품권’, ‘도시락을 쌀과 라면으로’, ‘맞춤형 도시락’…
이른바 ‘부실 도시락’ 파문 이후 여론의 따가운 시선을 받고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개선안을 차례로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들에 대해 벌써부터 실효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어 시행까지 상당한 논란과 진통이 예상된다. 경기 고양시는 지난 3일부터 결식아동 800여명에게 도시락 대신 농수산물 상품권을 지급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시락을 대던 업체가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배달을 포기한데 따른 고육책"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중식지원을 상품권으로 대체하면 결식아동이 직접 식품을 구입, 끼니를 해결해야 해 ‘도시락 역할’을 과연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 고양녹색소비자연대는 "굶는 아이들에게 밥을 직접 해 먹으라는 것은 돈은 돈대로 쓰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안 되는 탁상행정의 표본"이라고 꼬집었다. 시측은 이에 대해 "대다수 결식아동이 보호자가 있는데다, 식당을 지정하거나 부실한 도시락을 지급하는 것보다 원하는 식품을 사먹을 수 있는 장점도 적지 않다"고 해명했다.
강원 강릉시도 124명의 결식아동들에게 도시락을 배달해 온 대행업체가 급작스레 계약을 포기하자 쌀과 반찬을 살 수 있는 식품권을 대신 지급하기로 했다. 그러나 강릉YMCA측은 "대행업체를 새로 선정해 도시락을 정상적으로 공급하는 게 시의 1차적 임무"라고 지적했다.
제주도는 방학 중 급식체계를 아예 ‘맞춤형’으로 전환키로 했다. 해당 아동의 요구에 따라 급식소 및 식당 급식, 도시락 배달, 주·부식 배달 등 맞춤형으로 바꾸기로 했지만, 결식 아동들에게 불필요한 ‘선택’을 강요할 뿐이라는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
이왕구기자 fab4@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