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 채권단은 정부의 중재를, LG그룹은 제3기관을 통한 객관적인 분담 기준 마련을 새롭게 제시하고 나섰다. 하지만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 불과 하루 뒤 LG카드 이사회에서 추가 증자를 결의하지 않으면 청산 등 최악의 시나리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중재 나설까 = 채권단이 정부 역할론을 들고 나온 것은 더 이상 LG측을 압박할 카드가 없는 상황에서 정부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산업은행 고위 관계자는 "LG그룹에 증자 요구액을 당초 8,750억원에서 7,700억원으로 그리고 다시 6,700억원까지 낮춰 제시했지만 LG측은 수용 가능한 액수 조차 제시하지 않았다"며 "금융 당국이 나서서 LG를 설득해 달라는 취지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로서는 채권단의 공식 중재 요청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우회적으로 채권단을 지원 사격해 오기는 했지만, 자칫 잘못 나섰다가는 관치 논란에 휘말릴 것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중재에 나설 시간과 방법이 그리 많지 않은 것도 고민이다. 금감위 고위 관계자는 "산업은행의 기대처럼 정부가 나서서 분담액을 강요하기는 힘들지 않겠느냐"며 "다만 올초 합의서 등을 근거로 LG측을 압박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어디로 갈까 = 막다른 골목까지 왔지만 여전히 청산보다는 극적 타협의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굳이 정부와 채권단의 배수진이 아니더라도 LG그룹 자체적으로도 청산을 택할 경우 실익은 별로 없다. 청산을 택할 바에야 채권단이 차선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대로 청산가치로 채권을 팔고 나가는 것(캐시바이아웃)이 도덕적 비난에서 훨씬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의 증자 요구액이 2,000억원 가량 낮아진 만큼 LG그룹의 버티기가 이미 소기의 성과를 달성했다는 평도 적지 않다. LG측이 결국 마지막 며칠을 더 버텨 증자액을 조금이라도 더 낮추겠다는 협상 전략을 펴고 있다는 것이다.
이날 제3의 기관을 통해 객관적인 분담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도 시간 끌기 전략일지언정 추가 증자 자체를 거부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한 것이다.
물론 양측의 현격한 입장 차이를 감안하면 청산 가능성도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29일을 넘긴다고 해서 당장 LG카드 유동성에 구멍이 생기는 것은 아니어서, LG카드 청산을 볼모로 한 다툼이 새해까지 넘어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이영태기자 ytlee@hk.co.kr
박진석기자 jseo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