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친환경 우수기업/ 환경 경쟁력 = 국가 경쟁력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친환경 우수기업/ 환경 경쟁력 = 국가 경쟁력

입력
2004.12.23 00:00
0 0

날로 늘어나는 인간의 소비욕구를 지구가 언제까지 충족해줄 수 있을까? 소비는 인간의 복리에 필수적이지만 현재와 같은 생산과 소비 패턴이라면 인류의 앞날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환경각료회의가 2001년 채택한 환경전략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이 되면 세계 인구는 61억명에서 75억명으로 25%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반면 중요한 지구자원은 계속 한계점으로 치닫고 있다. 석유의 경우 채굴 가능한 양은 약 1,800기가 배럴로서 앞으로 40~50년이면 고갈되고 가스는 63년, 석탄은 218년 정도 밖에 사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인구 증가 및 자원 고갈과 함께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인간의 소비 수준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단순하게 주거 공간만 보더라도 1975년 국내 4인 가족의 주거 면적은 9~14평이었지만 1995년에는 19~29평으로 2배 이상 늘었다. 그 사이 인구는 1,680만명에서 4,460만명으로 2.6배가 늘어 주거면적 증가분과 인구 증가분을 감안할 때, 총 주거 면적은 20년 만에 대략 5배 정도 늘어났다. 결국 주거 면적의 증가는 시멘트 등 건축자재는 물론이고 전기와 물 소비량의 증가로 이어진다. 시멘트의 경우 백두대간의 허리를 잘라 캐낸 석회로 만들어지고, 전기는 발전소 인근 지역 주민의 환경피해를 전제로 생산돼 도시에 공급된다는 점에서 환경 피해가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소비수준은 10여년전인 1993년에 이미 전 세계 상위 20%에 해당돼 세계평균을 넘어섰다.

성장과 소비가 최고의 가치라는 사고에서 벗어나 환경 위기를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생산과 소비 확산을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이 같은 차원에서 등장한 것이 소위 녹색소비다. 녹색소비운동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다. OECD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환경에 부하가 적은 제품과 서비스, 이른바 ‘녹색상품’을 우선 구매하는 ‘녹색구매’를 활성화하라고 회원국 정부에 촉구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일반 소비자의 경우 이왕이면 가족의 건강과 안전, 환경을 생각하면서 친환경 상품을 구매해야 한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공공기관의 녹색구매 활동이다. 공공기관의 친 환경상품 구매는 시장을 녹색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정부의 역할은 아직 환경·소비자단체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1994년부터 공공기관들이 물자를 구매할 때 환경마크나 우수재활용(GR) 인증을 받은 친 환경상품을 우선 구매하도록 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지난해 공공기관의 친 환경상품 구매액은 2,627억원으로 우선구매 대상품목 총구입액 8,526억원의 31%에 그치고 있다. 기업간 거래에서도 녹색구매는 매우 중요하다.

최근 들어 선진국의 환경규제가 제품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어 최종 제품의 환경 성능을 높이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이뤄지고 있다. 최종 제품을 구성하는 원자재나 중간재를 구매할 때 친환경성을 고려하고, 소모품이나 사무용품도 환경성이 우수한 제품을 구매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