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를 정상화한 여야 4자회담은 상생 정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평가를 받을 만하다. 양측의 합의는 막다른 길에 이르러 파국에 대한 국민 비난을 의식해 쫓기듯 성사된 측면이 다분하다. 그러나 이를 십분 인식한 것 자체가 국민과 여론을 존중했다는 방증이다. 그리고 상호 양보를 통해 정치를 복원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 결과라고 여겨진다.따지고 보면 어려운 합의도 아니었다. 때문에 이 정도의 합의를 위해 그동안 적지 않은 대가를 치렀던 이유가 여야 간 깊은 불신 때문이었음을 씁쓸하게 확인하게 된다. 이번 여야 지도부 대화가 불필요한 불신을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면 이것만 해도 큰 수확이 아닐 수 없다.
회담에 대해 여야에서는 "합리적 토론의 정치, 싸우지 않고 일하는 정치의 단초를 열었다" "합의 정신에 입각해 상생의 정치를 펼쳐야 한다"는 자체 평가들이 각각 나온다. 이러한 대화와 화해의 분위기가 임시국회 마지막까지 이어져 민생 현안과 당면 쟁점들이 합리적으로 매듭지어지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지도부의 합의에 대해 당내 불만이 없을 수 없을 것이다. 특히 여당에서 후유증이 심한 듯하다. 그러나 집권당은 국정에 대한 무한 책임을 걸머진 정파이고, 그런 만큼 이를 앞장서 이끌어야 하는 지도부의 고민은 충분히 헤아려 주어야 한다고 본다.
이번 합의는 쟁점 현안들에 대한 논의의 틀과 절차에 관한 것이다. 앞으로 더 어려운, 내용에 대한 본격 절충이 남아 있다. 대화와 양보, 타협의 정신을 견지한다면 그 절충도 불가능할 이유가 없다. 다시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견의 폭이 클수록 마지막 까지 합의의 원칙을 버리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내년의 정치가 정쟁을 지양하고 통합과 경제 우선의 국정으로 전환될 수 있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이 이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