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일각에서 개각론이 모락모락 피어 오르고 있다. 여권 인사들은 "집권 3년차를 맞는 내년 초가 되면 개각 요인이 많아질 것"이라며 "1월 초순이 타이밍"이라고 전망한다.때 이른 개각설의 직접적 배경으로는 김근태 보건복지부장관의 발언파문을 지적할 수 있다. 노 대통령은 이번에는 김 장관을 경질하지 않을 것으로 전해졌지만 적절한 시점에 개각이 단행될 경우 김 장관의 거취 문제가 연계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좀더 깊은 배경이 있다. 집권 중반기를 맞아 국정운영 기조의 변화와 조직 개편을 통한 분위기 쇄신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열린우리당의 핵심 당직자는 "내년부터는 국정운영 기조를 바꿔서 통합 정치와 민생 경제에 무게를 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며 "이를 위해서는 국정운영 쇄신 차원의 개각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더욱이 노 대통령은 내년부터 총리의 권한을 더욱 강화하는 등 분권형 국정운영 시스템을 뿌리내리도록 한다는 정치 일정을 갖고 있다. 이 같은 시스템 정비 차원에서도 일부 장관의 교체가 있을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도 "내년에는 분권형 국정운영 시스템 정착 등의 요인으로 개각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내년 4월 30일 국회의원 재·보선과 우리당의 3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정치인 출신 일부 장관의 거취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해찬 총리의 거취 변화는 당분간 없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김근태 복지부장관 등이 장관직을 그만두고 당권 도전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원외 인사인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4월 재·보선에 출마할 가능성에 대해 소극적이지만 당내에서 거물급 차출론이 나올 경우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다.
또 노 대통령의 통치 철학을 제대로 따르지 못하는 일부 장관을 경질하고 청와대측 인사들을 내각에 전면 배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분위기 쇄신 차원의 대폭 개각을 하지 않지만 이번에는 다를 수 있다"며 "여러 요인이 중첩돼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개각 폭은 여러 의견이 있지만 3~5개 정도로 점쳐진다. 대상 부처로는 정치인이 장관을 맡고 있는 부처, 장수 장관 부처, 일부 경제 부처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정원장 등 일부 외교 안보 라인이 교체 대상에 거론될 수도 있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