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조에 이어 민주노총과 철도노조 등이 총파업을 결의함에 따라 노동계의 동투(冬鬪)에 전 사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노동계 총파업이 예정대로 확산할 경우 노정 갈등이 격화하는 것은 물론, 시민들의 불편도 극에 달할 전망이다.그러나 동투가 어느 정도 파급력을 가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전문가들은 15일 시작되는 전공노의 총파업이 어떻게 이뤄지느냐가 향후 동투의 강도를 결정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공노 지도부는 거듭 강경투쟁 방침을 밝히며 한치도 물러서지 않는 상황이다. 하지만 전국의 지부가 예상대로 동참할지는 불투명한 상태다. 행정자치부가 13일 자체적으로 파악한 결과에 따르면 전공노 지부가 있는 지방자치단체 176개 중 66개 지부만 참가하고 나머지 69개 지부는 불참, 41개 지부는 관망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 당국이 총파업을 불법행위로 규정, 강력대응 방침을 확고하게 고수하고 있는데다 국민여론도 결코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공노의 파업 참가율이 예상보다 저조할 경우 열흘 뒤인 26일 시작되는 민주노총의 총파업도 탄력을 받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6일까지 진행된 민주노총 총파업 찬반투표에서 투표 참여율이 51.5%로 절반을 간신히 넘겼고 총파업 찬성율도 전체 조합원 대비 34.9%에 불과하다는 점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 파업 명분이 비정규직 관련 법안 등 정치적인 이슈인 점도 조합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공노의 총파업이 정부의 예상을 빗나가 상당수의 지부가 참여하는 형태로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전공노 지도부는 "파업찬반투표가 무산된 것은 이미 지난 8월 대의원대회에서 파업이 결의된데다 정부의 탄압이 극심했기 때문"이라며 "그러나 파업이 실패하면 전공노가 자멸하게 될 것이라는 위기감이 조합원들의 연대감을 높이고 있고, 정부 탄압을 극복하면서 파업을 끌고 갈 수 있는 방안도 나름대로 마련해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고 자신하고 있다. 이 경우 민주노총이나 철도노조 등 노동계의 동투는 더욱 격화할 것이 자명하다.
한국노총의 움직임도 이번 동투의 주요 변수다. 한국노총은 민주노총과 달리 파업찬반투표를 벌이지 않았으나 21일 7만명 규모의 노동자대회를 여는 등 노동계의 동투를 측면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노총의 지원이 원활하게 이뤄지면 동투는 상당한 파급력을 갖게 되겠지만 반대의 경우라면 지리멸렬할 수밖에 없다.
한국노총 내부에서는 민주노총을 적극 지지하자는 강경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전공노 파업이 실패로 끝나면 한국노총의 지원을 얻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최기수기자 mounta@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