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양강도 김형직군에서 폭발이 발생한 지 닷새가 흐른 14일에도 폭발 원인을 둘러싼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정부는 인공위성과 인적 정보망을 총동원, 실체 규명에 나섰지만 아직 결정적인 정보까지는 확보하지 못한 답답한 상태다.이런 상황에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북한 백남순 외무상의 '수력발전소 건설작업용 폭파'라는 해명에도 불구하고 "다른 가능성이 있는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하는 등 폭발사건의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해외 일부 언론들도 북한의 해명에 여전히 의구심을 풀지 않고 있다. 알렉산더 제빈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극동연구소 코리안리서치 센터장은 UPI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김형직군 폭발과 관련, 북한의 '속임수'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는 "북한에는 실제로 핵무기가 없지만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이 북한이 핵을 갖고 있다고 믿도록 하는 것일지 모른다"며 "북한 문제의 진정한 상황을 숨기기 위해 적이나 상대를 혼란스럽게 하는 정책의 일부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미 CNN도 '북한 공화국 창건일에 맞춘 핵실험 가능성'을 들어 석연치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LA타임스도 "이번 폭발건은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미국을 비롯, 6자회담 관련국들을 조종하려 한다는 근심을 더욱 깊게 만들 뿐"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의 태도를 그렇게 부정적으로 볼 수만은 없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우선 북한이 폭발 사실 자체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북한은 과거 내부에서 발생한 각종 사고에 대해 지난 4월 평북 용천역 폭발참사를 제외하고는 외부 공개를 꺼려왔다. 특히 이번 경우 외부의 지원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폭발 원인을 쉽게 공개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보였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으로서는 최근 국제사회에서 계속 제기되고 있는 각종 설(說)을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이 들었을 것"이라며 "핵실험이나 미사일 등 군사문제와 관련된 의혹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신감까지 내비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대응에서 국제사회에 대한 투명성 확보노력이 읽힌다는 분석도 나왔다.
일단 이번 폭발의 실체는 늦어도 15일 중에는 드러날 전망이다. 북한 당국이 14·15일 중 평양 주재 외교관들의 현장 방문을 허용하겠다고 공표한 입장이고, 정부 역시 기상상태가 호전될 경우 하루이틀 사이에 김형직군 폭발현장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 확보가 가능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제사회에 팽배한 북한에 대한 불신은 폭발실체규명과 상관없이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상원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