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유엔地名 전문가회의 위원장 '한국해' 병기 지지 계기/정부 동해표기 운동 재고 목소리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유엔地名 전문가회의 위원장 '한국해' 병기 지지 계기/정부 동해표기 운동 재고 목소리

입력
2004.09.10 00:00
0 0

인터넷을 통해 한국 바로 알리기 운동을 벌이고 있는 시민단체 반크(www.prkorea.com)는 9일 그 동안 한국해 표기 쟁취 운동이 중요한 성과를 거뒀다는 낭보를 전했다.국제수로기구(IHO)와 함께 세계 바다 이름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유엔지명전문가회의(UNGEGN) 지명위원회 위원장인 이스라엘의 나프탈리 캐드먼이 ‘한국해’와 ‘일본해’ 병행 표기를 지지한다는 이메일을 보내왔기 때문이다.

캐드먼 위원장은 이스라엘 최대 지도제작사 예브네 퍼블리싱 하우스가 발행한 세계지도에 ‘한국해’(Yam KoreaㆍSea of Korea)를 ‘일본해’(YamJapanㆍSea of Japan)와 병기했다는 소식도 함께 전했다. 반크는 또 지명위원회 소속 슬로베니아 위원도 ‘한국해’ 표기에 긍정적인 의사를 알려왔다고 설명했다.

지난 4월 제22차 유엔지명전문가회의에서 일본해 삭제안을 철회하고 동해표기 문제에 대해 양자나 다자간 해결책을 마련하도록 권고하면서, 10년 넘게 추진한 동해 표기 노력이 물거품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 상황이라 이 소식은 더 없이 반갑다.

하지만 문제는 국제사회에서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한국식 바다 이름이 정부가 줄기차게 주장해온 ‘동해(East sea)’가 아니라 ‘한국해’라는 점이다. ‘한국해’ 쟁취 소식을 전한 반크 조차도 그 동안 대량 이메일 발송을 통해 관철시키려고 했던 우리 바다 이름은 ‘동해’였다.

국립해양조사원은 인터넷 홈페이지에 ‘우리와 함께 숨쉬는 동해’라는 동해 홍보 사이트를 만들어 ‘동해 표기 문제에 대해서 정부의 기본 입장인‘동해’ 이외의 명칭, 예를 들면 ‘한국해’나 ‘청해’ 등 제3의 명칭을 제기하거나 당장 가시적인 성과를 기대하는 것은 동해 표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보다는 혼란과 어려움만 가중시킬 뿐이므로 이 시점에서는 명칭에 대한 각자의 주장을 자제하면서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을 보내는 성숙한 자세가 필요하다’며 한국해 표기 요구를 하지 말도록 요구하고 있다.

동해 표기 운동에 무언가 혼선이 있는 건 아닐까? 정부와 시민단체가 적극나서 국제사회에 동해 표기를 주장했는데도 불구하고 왜 한국해 표기를 수용하겠다는 의사가 나오는 걸까? 최근 한국일보에 ‘한국해인가, 동해인가’를 연재, ‘동해’가 아닌 ‘한국해’ 표기를 주장해온 미술사학자 이돈수(38)씨에게 혼란을 겪고 있는 표기 문제를 물었다.

-동해 표기를 재검토해야 하는가?

“한반도가 그려진 서양고지도 400여 점을 갖고 있는데 그 중에서 동해식표기는 7%에 불과하다. 나머지 지도가 대부분 한국해 표기를 택하고 있다. 바다 이름을 주장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국제사회에 어떻게 설득력 있게 다가가느냐 하는 것이다. 지금의 동해로는 일본과의 논리 싸움에서 밀릴 우려가 많다. ‘한국해’야말로 국제사회에 설득력과 객관성을 확보할 수있는 표기명이다.”

-'한국해' 주장은 10년에 걸친 정부의 노력에 혼선을 주는 것 아닌가?

“올해 4, 5월 동해와 일본해를 함께 쓰던 프랑스와 독일이 병기 원칙을 번복했다. 유엔지명전문가회의의 다자 해결 권고는 좀 비관적으로 말하면 동해 표기가 일본해에 무릎을 꿇었다는 의미다. 동해 이외의 다른 표기를 배제하고 정부와 학계, 민간 모두가 노력했지만 그 결과로 얻은 것이 없다.

‘한국해’를 채택한 이번 국제사회의 선택에서 동해 표기의 타당성 부족이 여실히 증명되었다고 할 수 있다.“(국립해양조사원의 ‘동해 표기 역사’에는 기원전 59년부터 기원후 1613년까지는 5개 지도의 동해 표기를,그 이후 1871년까지는 약 20종의 서양ㆍ일본 고지도의 ‘한국해’ ‘조선해’ 표기를 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혼선을 어떻게 풀어가야 하나?

“지도에 하나의 명칭을 정착시키는데 일이십 년은 결코 긴 시간이 아니다. 더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해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먼저 동해 아닌 다른 목소리를 받아들여야 한다. 타당하고 설득력 있는 명칭을 재검토하고 이를 뒷받침할 자료 수집과 연구를 통해 우리의 경쟁력을 키워야 된다. 정부와 민간의 목소리는 그런 준비가 되었을 때 제대로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범수기자 bs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