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가계자산 구성이 1990년대 일본 가계 자산운용과 비슷하게 부동산과 예금ㆍ보험 등 저수익 부문의 비중이 높아 ‘일본식 장기불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됐다.현대증권은 24일 “최근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운용은 부동산 등 실물자산비중이 80%를 넘고 있으며, 나머지 금융자산도 예금(57.2%ㆍ2003년 기준), 보험ㆍ연금(19.9%) 등에 집중돼 있는 반면 주식은 5.8%에 불과하다”고 분석했다.
가계자산이 이처럼 저수익 부분에 집중돼 있어 가계부채 부담과함께 가계소비 부진의 주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장기불황을 피할 수 없을 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현대증권 오성진 투자전략팀장은 “현재 한국의 인구구조는 90년대 미국,일본과 유사하게 30ㆍ40대 비중이 가장 높은데, 이들 30ㆍ40대는 노후대책과 자산운용에 대한 관심이 높은 특징을 보인다”고 분석했다.
오 팀장에 따르면 90년대 미국의 30ㆍ40대는 뮤추얼펀드 등 비은행권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비중을 늘려 ‘기업투자 활성화 → 주가상승 → 자산 가격 상승 → 소득ㆍ소비 증가 → 장기호황’의 선순환 구조를 이룩할 수있었다는 것이다. 반면 90년대 일본은 ‘부동산 투자 비중 과다 → 부동산경기 버블붕괴 → 가계 자산 및 소비여력 약화 → 장기불황’의 악순환을 겪었다고 설명한다.
그런데 현재 한국의 경우는 부동산과 금융자산 중 예금비중이 높았던 일본과 닮은 꼴이라고 지적한 그는 “몇 차례 투자실패를 경험한 개인들이 주식시장으로 다시 돌아오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겠으나,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는 한 증시 활성화 만이 가계와 기업 모두에 도움이 되는 길”이라고주장했다.
오 팀장은 “일본식 장기불황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최근 추진되는 연기금 주식투자 허용과 아울러 ‘주식형 적립식 펀드’ 같은 서민용 주식투자 상품에 소득공제를 허용하는 등 당국의 적극적인 증시부양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정영오기자 young5@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