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들어 여당 대표의 수난과 자충수가 이어지고 있다. 출범 1년 반 남짓한 기간에 민주당 정대철 전 대표, 열린우리당 정동영 전 의장이 불명예 퇴진한 데 이어 신기남 의장마저 부친의 친일 행적 논란으로 두 전임 대표의 전철을 밟을 공산이 커졌다.집권당 대표의 수명이 이처럼 짧은 것은 이례적이다. 국정의 중심을 잡아야 할 여당의 구심점이 내내 불안하게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참여정부의 첫 여당 대표였던 정대철 전 대표는 우리 정치사에서 여러가지 기록을 낳았다. 우리당 창당에 따른 집권당의 분당 자체가 사상 초유의 상황이었다. 특히 정치권을 휩쓸었던 불법대선자금 수사에서는 현직 여당대표로 처음 검찰에 소환된 데 이어, 굿모닝시티에서 불법자금을 받은 혐의로 사전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결국 올 1월 대우건설 비자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때문에 지난해 7월 그의 주변에서 "청와대가 정 대표를 버리고 있다"는 '청와대 386 음모론'이 흘러나오는 등 노무현 대통령측과 여당대표가 갈등을 빚는 모양새가 연출되기도 했다. 그는 현재 7개월간의 수감생활로 건강이 급속히 악화돼 병원에 입원 중이다.
1월 전당대회에서 화려하게 선출됐던 정동영 전 의장은 '설화'로 위기를 자초한 사례다. 4·15 총선 공식 선거운동기간을 하루 앞둔 4월 1일 "60, 70대는 투표를 안 해도 된다"는 노인폄하 발언이 터져나온 것이다. '노풍'은 '탄핵풍'을 흔들 정도로 위협적이었기에 공개적으로 그의 사퇴 주장이 이어졌고 결국 그는 4월 12일 비례대표, 당 선대위원장직을 사퇴하고 단식으로써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는 상황에 처했다. 총선에서는 승리했으나 17대 의원직을 갖지 못한 그는 결국 5월 의장직마저 내놓아야 했다.
신 의장도 각종 구설로 의장직이 내내 위태로웠다. 7월 미국을 방문했을 때는 "미국 말고 우리에게 동맹이 어디 있느냐"고 말해 '굴종외교'라는 비난을 들었다. 또 최근에는 기간당원 자격 완화 문제로 당원들과 갈등을 겪으며 그의 글이 당 홈페이지에서 당원들에 의해 삭제되는 봉변을 당하기도 했다.
/고주희기자orwell@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