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2002년 2월부터 소위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하여 고구려사를 중국 소수민족의 지방정권이라고 왜곡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에서 역사왜곡 중단을 촉구하자 이는 민간의 학술기관에서 하는 것이라 정부가 나설 일이 아니라고 발뺌을 하였다.그러나 7월 1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총회에서 북한의 고구려 고분군과 함께 중국 영토 내의 고구려 수도 및 고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자마자 관영 언론을 통하여 고구려를 중국사의 일부라고 대대적인 선전을하고 있다.
더구나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고구려를 삭제하여 버렸으며, 이에 대해원상복구를 촉구하자 1945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전의 한국사 전체를 아예 삭제해 버렸다. 외교부에서는 아ㆍ태국장을 중국에 파견하여 이에 대한시정을 재차 촉구하였으나 원상회복을 하지 않고 않다.
이와 같은 중국 측의 만행에 대해 우리 국민들은 분노를 느끼고 중국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실무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여러가지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한 국회에서도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및 중국 역사 편입 시도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발의하였으며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였다. 또한 교육위원회 소속 국회의원들이 이례적으로 고구려연구재단을 방문해 앞으로의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리가 지금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은 중국이 내년 개정할 역사교과서에 고구려사를 왜곡한 내용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정부, 국회, 학계, 시민단체 등이 총력을 기울여 관철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를위해 북한 및 일본과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 역사교과서왜곡 사건 때는 중국과 손을 잡고 공동보조를 취하여 많은 성과를 얻은 바가 있다.
학계에서는 고구려연구재단을 중심으로 자료를 모으고, 이를 분석하여 대응논리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변 나라 학자들을 초청하여 고구려사의 정체성에 대해 객관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9월 16일과 17일러시아, 몽골, 북한, 일본, 호주, 미국학자들이 참여하여 ‘한국사 속의 고구려’라는 주제로 국제학술회의를 갖는 것이 그 좋은 예라 하겠다.
또한 중국 사회과학원과 고구려사에 대해 공동 학술회의를 통하여 학문적으로 토론을 한다면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학문적으로 입지가 좁아지게될 것이다. 한편 북한과 고구려 문화유산을 공동으로 조사하고 공동 학술회의를 통하여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를 심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응하려면 우리 국민들부터 고구려사를 비롯한 한국사에 대해 많이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 시회 교육을 통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많이 알고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따라서 한국사를 독립 교과로 편성하고 역사를 전공한 교사들이 가르칠 수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정부에서 주관하는 각종 고시에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하여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진 공무원과 지식인을 양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대중들이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전시회나 각종 이벤트를 통해 역사를 대중화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고려대 100주년기념관에 들어설 고려대박물관이 2005년 5월 5일 개관하면서 ‘고구려와 동아시아 특별전’을 개최해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대중들이 공유하도록 하려는 것이 그 좋은 예라 하겠다.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우리가 지키고 가꾸지 않는다면 누가 계승하고 발전시킬 것인가?
최광식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