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에서 일본을 담당하는 동북아1과는 최근 중국을 담당하는 동북아2과에 '외교비기(秘器)'를 전수했다. 고구려사 왜곡문제로 머리를 싸매고 있는 동북2과를 위해 2001년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파문 때의 노하우를 전달한 것이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논란이 일본 교과서 파문과 점차 닮은 꼴로 진행되고 있다는 판단했기 때문이다.외교부의 우려처럼 고구려사 왜곡 문제는 장기전의 수렁에 빠져들고 있다. 일본 교과서 문제가 1980년대에 불거져 2001년에 위기의 정점으로 치달은 뒤에도 불씨가 꺼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자칫 영구적인 과제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역사왜곡의 주체가 출판사나 대학 등으로 중앙정부와 관계가 모호한 점도 비슷하다. 중국측은 우리 정부의 고구려사 왜곡시정 요구에 "중국은 큰 나라여서 지방정부의 움직임과 출판물 등을 일일이 통제할 수 없다"며 요리조리 빼고있다.
일본 정부도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이라는 우익 단체가 검정교과서를 신청했지만 자신들과는 무관한 일이라고 강변했었다. 당시에 중국은 한국과 함께 이런 태도를 비난하다, 이번에는 일본의 변명 방식을 따라 하고 있는 꼴이다.
정부는 그러나 일본에 비해 정치·경제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중국에 대해선 신중히 접근하고 있다. 당시 최상용 주일대사를 전격소환했듯이 이번에도 김하중 주중대사를 소환해야 한다는 지적도 없진 않으나 소모적 외교전쟁을 피한다는 게 외교부의 입장이다.
/김정곤기자 kimj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