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7차 동시분양 물량이 2개 단지, 130가구로 지난해(380가구)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도에 동시분양 자체가 무산됐던 것을 감안하면 현재 분양시장 위축이 얼마나 심각한지 잘 보여준다.건설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주택건설허가 물량은 지난해 상반기 32만1,000가구에서 15만4,000가구로 무려 52.2%가 줄었다. 특히 서울 등 수도권 주택 허가 물량은 67%가 줄어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하다. 이렇게 동시분양, 주택건축 허가 물량이 대폭 줄어든 이유는 무엇일까.
민간택지 규제, 재건축 억제, 용적률 강화, 분양원가 공개 및 재건축 개발이익환수제 등 각종 주택 안정대책 영향에다 경기 침체 장기화가 가세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미분양, 미계약 물량이 속출하고, 분양권과 기존 아파트의 급매물도 점차 늘고 있다. 6월말 기준으로 미분양 물량이 전국적으로 5만 가구를 넘어섰다.
반면 규제 완화나 경기 부양책을 기대한 매수세는 투자 심리 위축으로 요지부동 상태에 있다. 한마디로 매수세 실종 및 거래 중단 사태 속에 미분양과 급매물만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럴 때 실수요자들은 두가지 사항을 고려해서 의사를 결정해야 한다.
먼저 지난해 하반기 이후 아파트 분양물량이 줄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향후 2∼3년 후에는 시차를 두고 공급 사태가 벌어져 집값이 다시 불안해질 가능성이 높다. 요즘처럼 미분양, 급매물이 느는 시기는 시세보다 5∼10% 정도 싼값에 집을 살수 있다. 매수자 시장에서는 돈을 가진 사람이 유리한 협상력으로 매매가를 하한가 근처로 조정할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과거 미분양 물량을 좋은 조건에 매입해서 입주 시 큰 시세차익으로 대박을 터뜨린 사례가 많다. 예컨대 수도권 택지개발지구나 역세권 대규모 단지, 강남 재건축단지, 강북 뉴타운 개발지구, 고속철 개통지, 신행정수도 후보지 등의 미분양, 급매물 아파트는 잘만 고르면 몇 년 후 효자노릇을 톡톡히 할 상품이다.
고종완/RE멤버스 대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