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건설부문 수주규모 감소 폭이 외환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고, 미분양 아파트가 5만 가구를 넘어서는 등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가속화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시장 안정화 정책이 예고돼 있어 하반기에도 건설경기 침체는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건설수주액은 31조7,580억원(물가상승률을 감안하지 않은 경상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0조8,400억원)에 비해 22.2%인 9조820억원이 감소했다. 이는 외환위기가 닥쳤던 1998년 상반기의 12조원 이후 최대치의 감소 폭이다.
상반기 건설수주는 2001년 21조1,910억원, 2002년 32조1,590억원에서 지난해 정점을 찍은 뒤 올해는 2002년 수준으로 후퇴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전체 건설수주액이 지난해에 비해 13% 줄어든 89조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으나 현재의 추세라면 이보다 감소 폭이 훨씬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수주는 6개월∼1년의 시차를 두고 실제 건설경기에 반영되는 만큼 올 하반기와 내년의 경제성장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 권순우 수석연구원은 "지난해 전체 투자에서 건설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58%로 설비투자 35%보다 훨씬 컸다"며 "건설경기가 가라앉을 경우 성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클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가 3조원 증가할 경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5%포인트 늘어나는 것을 감안할 때 올해 상반기 중 건설수주 감소만으로도 향후 1.5%포인트 정도의 GDP 성장률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실물 부동산시장에서는 빨간불이 켜졌다. 건설교통부가 이날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6월 현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5만 가구를 넘어섰다. 이는 2001년 4월(5만739가구) 이후 최대치다. 2만 가구에 머물던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해 12월부터 급증하기 시작했다.
서울과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전세값이 이미 2002년 말부터 하강국면에 들어섰는데도 정부가 고강도의 안정화정책을 고집하면서 시장위축을 부채질 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4번의 순환주기를 거쳤으며 현재는 2002년 11월 정점이후 시작된 하강국면이 진행중이다. 서울과 수도권의 주요 신도시 전세값도 2002년 이후 하강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연구원측은 "순환주기 상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와 전세값이 모두 하강국면인데도 정부가 과도한 부동산 안정 정책을 계속할 경우 시장의 하락이 급속하게 진행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장민 차장은 "오피스텔 등 비주거용 건축 수주는 이미 작년에 크게 둔화했고 올 들어서는 주택건설 수주가 떨어지고 있는 만큼 건설경기 침체는 갈수록 깊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김동국기자 dk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