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업체에 퇴직 사원 단속 비상이 걸렸다. 21일 한국정보통신수출진흥센터(ICA)가 발표한 '정보기술 해외유출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기술 유출 시도의 69.4%가 퇴직 사원의 소행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국가정보원과 산업기술협회 조사에서도 퇴직 사원의 사고 비율은 각각 62.2%와 70.2%에 이르렀다. 반면 현직 사원의 비율은 16.7%, 경쟁업체 직원의 비율은 11.2%에 불과했다. 퇴직자가 기술 유출의 주요 경로로 자리잡은 셈. 이로 인한 지난 5년간의 피해 추정액만도 20조원이다.그런데도 퇴직자에 대한 기업들의 인사 관리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현재 ICA에 등록된 기업 중 내부적인 보안관리규정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는 업체는 37.6%, 퇴직시 기밀유지계약을 하는 등 보안 관리를 하고 있는 경우는 49.5%에 머물렀다. 회사가 퇴직 희망자들에 대한 인사관리를 조금만 더 엄격히 해도 산업 스파이 사건의 상당수를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ICA의 분석이다.
퇴직자들은 현직에 있을 때부터 해외 경쟁업체들의 불법적인 스카우트 공세에 시달리다가 산업스파이의 길로 빠져든다. 현행법상 회사의 주요 영업비밀을 알고있는 사람은 퇴직 후 1년 내에 국내외 경쟁업체에 취업하는 것이 금지돼 있다. 특히 한국이 두각을 보이고 있는 휴대폰과 반도체 부문에서 기술 제공을 전제로 국내 기업 연구원을 표적 스카우트 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1∼2억대 연봉과 평생 고용, 교육 환경이 좋은 외국으로의 이주 등을 조건으로 내세워 부양 가족이 있는 30∼40대 핵심 연구원을 공략한다.
국가정보원 산업기밀보호센터 관계자는 "이중에는 전문적인 수준의 첩보 인력을 동원해 스카우트 대상자의 약점을 물고 늘어지며 이직을 종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정철환기자 ploma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