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단행된 차관급 인사는 참여정부 국정 2기 진용 꾸리기를 마무리한다는 차원에서 이뤄졌다.지난달 30일 이해찬 총리를 임명하고 지난 1일 정동영 통일·김근태 보건복지·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 등 3개 부처 장관을 임명한 데 이어 이뤄지는 후속 인사이다. 이날 통일· 복지부 차관이 교체된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문화관광부 차관은 이미 오지철 전 차관의 인사 청탁 개입 사건으로 새 인물로 교체됐다.
장·차관을 동시에 교체할 경우 업무 연속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음에도 차관을 물갈이한 것은 팀 플레이를 더 중시했기 때문이다. 정찬용 인사수석은 "통일부와 복지부의 경우 해당 장관들의 의중을 존중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눈길을 끄는 점은 이봉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실장을 통일부 차관에 발탁한 것이다. 이 차관은 이종석 NSC 사무차장을 적극 도우면서 외교·안보 라인 정책 조정의 주역을 맡아왔다. 이 차관이 친정 복귀를 원하기도 했지만 정동영 장관이 적극 천거한 게 결정적 요인이 됐다는 후문이다. 행정 경험이 적은 정 장관은 통일부에서 잔뼈가 굵은데다 이종석 차장과 호흡을 맞춰온 이 차관을 선호한 것이다.
김근태 복지 장관도 복지부에서 연금보험국장 등을 맡아온 송재성 사회복지정책실장을 복지부 차관으로 추천했다. 국민연금 등 사회적 쟁점을 잘 원만히 풀어갈 수 있는 경험자를 고른 셈이다.
또 청와대에서 능력과 성실성을 인정 받아온 김성진 산업정책비서관이 중소기업청장에 발탁된 것도 시선을 모은다. 이번 인사에서는 내부 승진과 외부 인사 기용 등의 형식을 떠나 모두 관료 출신을 임명했다는 게 특징이다. 차관급 이하 인사에서는 '코드' 보다는 전문성과 안정을 중요시하겠다는 뜻이다. 출신 지역을 안배하는 데도 신경을 쓴 흔적이 있으나 부산·경남 출신이 상대적으로 많은 편이다.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서인지 이번에는 재경부 등 경제 핵심 부처의 차관급 인사는 빠졌다.
/김광덕기자 kd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